
서울AI재단(이사장 김만기)과 한국보건의료정보원(원장 염민섭)은 8월 22일, 디지털 포용 및 AI 기반 스마트 헬스케어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디지털 약자의 건강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양 기관의 전문 역량을 결합하여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을 확대하는 데 목적을 둔다.
협약식은 같은 날 오전 11시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신관 한국보건의료정보원에서 진행되었으며,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지속적인 교류와 협력을 이어갈 방침이다.
이번 협약의 주요 내용은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콘텐츠 제작·보급 ▲보건의료 데이터 기반 기술 및 정책 협력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정보 교류 등이다. 특히 장·노년층과 장애인 등 디지털 소외계층을 위한 맞춤형 콘텐츠 개발과 효과적인 확산 전략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서울AI재단은 자체 운영 중인 ‘어르신 디지털 나들이 지원단(어디나지원단)’ 등 디지털 역량 강화 지원 사업과 연계하여 ‘나의건강기록앱’ 활용을 촉진할 예정이다. ‘나의건강기록앱’은 보건복지부가 제공하고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이 운영·관리하는 개인 건강 정보 통합 관리 플랫폼이다. 양 기관은 해당 앱을 통해 디지털 약자의 의료정보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서 서울AI재단은 2024년부터 2025년까지 ‘어디나지원단’ 강사 교육 과정에서 ‘나의건강기록앱’을 소개하고 교육자료를 배포했다. 또한 지난 7월에는 디지털 약자 대상 교육 영상 시리즈인 ‘어디나5분클래스, 나의건강기록앱’ 편을 제작 및 배포한 바 있다. ‘어디나지원단’은 55세 이상 강사가 어르신 교육생을 1:1로 교육하는 ‘노노케어’ 방식의 서울시 대표 어르신 디지털 격차 해소 강사 교육 브랜드이다. ‘어디나5분클래스’는 5분 내외의 짧은 교육 영상으로,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 활용 방법을 안내하며 유튜브, LG헬로비전, SK Btv를 통해 시청 가능하다.
염민섭 한국보건의료정보원 원장은 "서울AI재단과의 협력을 통해 디지털 소외계층이 건강정보 서비스를 더욱 쉽게 접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앞으로도 국민 중심의 보건의료 정보화 환경 조성을 위해 다양한 협력 모델을 지속 발굴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만기 서울AI재단 이사장은 "이번 협약은 서울 시민 모두가 건강 정보에 평등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의미 있는 첫걸음"이라며, "디지털 포용은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핵심 전략이며, 향후 민·관 협력을 통해 AI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가 시민 복리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