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뇌신경과학회와 대한비만학회가 오는 8월 26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비만 및 당뇨병에서의 대사 조절: 호르몬과 신경의 상호작용’을 주제로 공동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전 세계적으로 돌풍을 일으키는 비만 치료제 ‘위고비’의 핵심 성분인 GLP-1 수용체 작용제(GLP-1 RA)의 중추 효과와 다면적인 작용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다룰 예정이라 학계의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위고비’는 단순한 체중 감량을 넘어 혈당 조절, 식욕 억제,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까지 입증하며 당뇨병과 비만 치료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혁신적인 기여는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위고비 개발 연구진은 2025년 브레이크스루상 생명과학 부문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이번 공동 세션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있는 GLP-1 RA가 뇌와 호르몬 시스템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깊이 파헤칠 예정이다. 뇌와 대사질환 간의 복잡한 연결고리를 밝혀내기 위해 세계적인 연구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지식을 공유한다. 특히 GLP-1 기반 치료제의 다면적 효과와 신경계의 새로운 역할, 장 포도당 흡수 및 후뇌 GFRAL 신경 회로 등 차세대 대사질환 치료 타깃이 집중 조명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발표에는 노보 노 디스크 코리아의 Julie Broe Honoré 박사가 GLP-1 RA의 중추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고, KAIST의 손종우 교수와 송민호 교수, 그리고 울산대학교의 민세희 교수가 비만·당뇨병 등 대사질환에서 인슐린 저항성 조절 메커니즘과 치료 전략을 각각 소개할 예정이다.
한국뇌신경과학회 측은 이번 공동 세션이 "호르몬 경로와 신경 경로를 잇는 최신 연구를 총망라한 자리"라며, 기초과학자와 임상의가 함께 대사질환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임을 강조했다.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비만과 당뇨병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시하고, 의학 발전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