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주거환경이 열악한 무주택 청년의 경제적 부담을 덜기 위해 하반기 ‘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 사업을 시행한다. 8월 12일부터 25일까지 온라인 접수하며, 총 4천 명을 선정해 최대 40만 원을 지원한다.
서울시는 이사 잦은 청년층의 주거 부담을 완화하고 안정적인 생활을 돕기 위해 하반기 ‘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 신청을 받는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하반기 모집 인원은 4천 명이며, 상반기 6천 명을 포함해 올해 총 1만 명이 혜택을 받게 된다.
신청 대상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서울로 전입했거나 서울 내에서 이사한 만 19~39세 무주택 청년이다. 주민등록등본상 세대주이며, 임대차계약서상 임차인도 본인이어야 한다. 동거인(부모·배우자 등)이 있어도 지원 가능하다.
거래금액 2억 원 이하 주택에 거주하며, 건강보험료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가 신청할 수 있다. 거래금액은 임차보증금에 월세액×100을 더해 산정한다. 예를 들어 보증금 1억 원, 월세 70만 원이면 거래금액은 1억 7천만 원이다.
다만, 주택을 보유한 경우, 타 기관에서 동일 지원을 받은 경우, 부모 소유 주택에 거주하는 경우,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중 생계·의료·주거급여 수급자는 제외된다.
신청자가 모집 인원을 초과하면 전세사기 피해 청년, 가족돌봄청년, 청소년 부모, 자립준비청년 등 사회적 약자와 주거취약청년을 우선 선정하고, 이후 소득이 낮은 순으로 선발한다. 선정자는 10월 서류심사와 자격 검증을 거쳐 12월 지원금을 받게 된다.

올해 상반기 지원 대상 5,735명은 1인당 평균 33만 7,860원을 받았다. 신청자의 90.5%는 1인 가구였으며, 60% 이상이 20대였다. 우선 지원을 받은 458명 중 80% 이상이 반지하·옥탑방·고시원에 거주했다.
관악구 거주자가 16%로 가장 많았고, 중구가 1.4%로 가장 적었다. 신청자의 69%는 원룸에, 76%는 30㎡ 이하 소형 주택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철희 서울시 미래청년기획관은 “전세사기, 양육, 가족돌봄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이 사각지대에 놓이지 않도록 우선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청년 주거정책의 폭을 넓혀 나가겠다”고 말했다.
청년이라면 주거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말자. ‘청년 몽땅 정보통(youth.seoul.go.kr)’에서 8월 25일 오후 6시까지 온라인 신청 가능하다.
상담: 010 6438 88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