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영리 사단법인 루트임팩트가 국내 기후 비영리 조직의 장기적 성장과 자립을 지원하는 ‘CP1(Climate Philanthropy 1)’ 프로젝트를 공식 출범했다.
최근 세계적으로 폭염, 폭우 등 기후 재난이 잦아지는 가운데, 정부와 기업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기후 대응에 시민사회와 비영리 단체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하지만 다수의 기후 비영리 조직은 재정 안정성 부족과 인력 유출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름다운재단이 2021년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국내 비영리 종사자 절반 이상(52%)이 3년 이내에 조직을 떠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루트임팩트는 이러한 현실 속에서 기후 비영리의 전문성 축적과 지속가능성을 기후 위기 해결의 핵심 요소로 보고, 임팩트 성과를 기반으로 한 체계적 지원을 제공한다. CP1 프로젝트는 △최대 1억 원 규모의 재정 지원 △임팩트 성과 관리 및 모금 역량 교육 △네트워킹 및 협업 촉진 △조직 맞춤형 성장 전략 지원의 네 가지 축으로 구성되며, 특히 재정 지원금은 특정 사업에만 한정되지 않고, 각 조직이 필요로 하는 곳에 자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번 1기 지원 대상은 녹색전환연구소, 에너지전환포럼, 환경운동연합 등 세 곳으로, 선정 단체는 2026년 6월까지 약 1년간 밀도 높은 성장 프로그램을 함께한다.
루트임팩트는 2022년부터 IP1 기금을 통해 비영리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지원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에는 기후 분야에 특화된 새로운 벤처 필란트로피 모델을 도입했다.
최근형 루트임팩트 임팩트 필란트로피 팀장은 “기후 위기는 광범위하고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 현안”이라며 “다양한 주체가 협력해야 하며, 특히 문제 해결의 중심에 있는 기후 비영리 조직이 전략적·지속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구조 마련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에너지전환포럼 임재민 사무처장은 “현장에서의 경험은 풍부하지만, 전략적 운영을 통한 임팩트 확대에는 어려움이 있었다”며 “이번 프로그램이 지속가능한 성장 전략을 세우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CP1 프로젝트는 내년 상반기 종료 이후에도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지속적 교류와 역량 강화를 이어갈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