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우리는 무엇을 가지고도 만족할 줄 모른다.
현대인들의 공통된 병이다.
그래서 늘 목이 마르다. 적은 것에서 오는 아름다움과 살뜰함과
사랑스러움과 고마움을 잃어 궁극적으로 물질의 풍부란 홍수로 정체성을 잃고
메말라 지구 온난화란 불치병에 마비되어가고 있다.
지구의 불치병을 치료하기 위해서 인류는 임기웅변으로 탄소세를 받아내어 지구를
되살리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희망뿐이며 살아나고 있는 데이터는 아직은없다.
환경 인문학 측면으로 UNFCCC 의 인위적 배경, 지구 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한
도구에 대한 해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사람들은 아직까지 온난화 되어 가는 지구 환경의
심각성과 그에 따른 배경, 방법, 과학적 근거와 이론에 끌려가고 있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법 이 추진된지도 1년 아직 이 법에 대해
문의가 오는 관계로 매일 이 법에 대해 책을 펴놓고 이해를 구합니다.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 실현을 위한 8대 핵심 주제별 전략”
1. 기후 분야 (변화 · 위기)
기후변화의 가속화: 이상 기후현상과 해수면 상승 등, 전 지구적 위기 신호
기후 위기 인식 강화: 사회 전반에서 위기 대응 필요성 확산
2. 탄소중립 (중립 · 사회)
순배출 ‘제로’ 목표의 의미: 온실가스 배출과 흡수 균형으로 순배출을 ‘영(零)’으로
사회 전환의 추진력: 탄소중립 사회로의 체계적 변화 필요성
3. 온실가스 (가스 · 배출 · 감축 · 흡수)
온실가스 감축 계획: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최소 35% 이상 감축 목표
흡수 증가와 균형 조율: 배출 감축과 함께 흡수량 확대 전략 병행
4. 신재생에너지
에너지 전환의 핵심 요소: 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한 탈탄소 기반 조성
기술 혁신과 투자 확대: 녹색기술 가속과 신산업 육성 연계 강조
5. 에너지 전환
화석연료의 단계적 축소: 에너지 구조 전환을 통해 중장기적 감축
분산 발전과 스마트 그리드 구축: 에너지 효율성과 자립성 강화
6. 기후위기 (적응 · 정의)
기후 변화 적응 전략: 홍수, 폭염 등 재해 대응 체계 강화
기후 정의 실현: 기후위기 대응에서 사회적 불평등 해소 중요성 강조
7. 정의로운 전환
취약 계층 보호: 탄소중립 전환 과정에서 불이익 집단을 위한 안전망 마련
공정한 전환 추진 원칙: 모든 국민의 참여와 공유된 이익 보장
8. 녹색 (성장 · 경제 · 기술 · 산업)
녹색산업 육성: 성장 잠재력 높은 녹색기술·산업 집중 육성
일자리 창출: 녹색 전환과 경제 선순환 구조로 일자리 확대
송영배기자 010-2293-6500
dandory2000@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