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농업기술원이 병해충과 이상기후로 인한 농작물 생육 스트레스를 사전 예측하는 ‘농작물 생체정보 AI 기반 불량환경 조기 예측시스템’ 개발에 착수했다.
성제훈 농업기술원장은 4일 경기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과기정통부의 ‘2025 디지털 기반 사회현안 해결 프로젝트’ 공모 선정에 따라 본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유전자 분석을 통해 벼와 콩 등 작물의 생육 스트레스를 정량화된 데이터로 전환, 병해충이나 기상이변 등 주요 위험 요소를 조기에 탐지하는 것이 핵심이다.
기존 센서 기반 방식보다 정확도가 높고, 실질 생리 반응을 기반으로 한 고신뢰 예측 정보를 제공한다.
농업기술원은 생육 기간 중 RNA 샘플을 수집·분석해 디지털 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으며, 개발이 완료되면 웹 기반 플랫폼으로 농가와 기술센터에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사업은 NIA가 총괄하고, 농촌진흥청과 대학·기업 등 10개 기관이 공동 참여한다. 경기도는 오는 12월까지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성 원장은 “이번 시스템은 디지털 기술과 생명정보 분석이 융합된 지능형 농정 플랫폼으로, 경기도 농업의 디지털 전환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