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남 「화학안전 시민학교」 | 전북 「화학안전 시민학교」 |
지역사회 주도 ‘화학안전 시민학교’ 시범 운영 시작
환경부 산하 화학물질안전원(원장 박봉균)은 오는 8월 말부터 약 한 달간 전남과 전북 지역에서 ‘화학안전 시민학교’를 시범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지역 주민의 화학안전 대응 역량을 키우고, 주민의 알권리 보장을 실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됐다. 참가자는 7월 28일부터 무료로 모집 중이다.
‘화학안전 시민학교’는 올해 2월 출범한 시민사회 네트워크와 화학물질안전원이 공동 기획한 사업으로, 실생활 속 화학물질 정보 제공부터 사고 대처 요령까지 폭넓은 교육이 제공되며, 해당 네트워크는 전국 11개 시민단체가 참여한 소통기구로, 건강과생명을지키는사람들, 환경운동연합 등이 포함돼 있다.
전북·전남서 지역 밀착형 교육… 주민 주도 안전문화 확산
이번 시범사업은 시민단체와 지자체 간 협력이 활발한 전남·전북을 대상으로 선정했으며, 교육 효과와 참여율, 지역사회의 반응 등을 종합 분석한 뒤 향후 전국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실습과 토론을 포함해 이론 중심의 일방향 교육을 탈피한 총 11강, 20시간으로 구성된 교육은 참가자 약 100명 규모로, 시민이 스스로 화학안전에 대해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교육 내용은 일상에서 접하는 화학물질의 위험성 이해, 사고 발생 시 대처 요령, 그리고 지자체와의 협력 구조에 대한 인식 향상을 목표로 하며, 교육과정에는 현장 견학도 포함된다.
공동주관 확대… 협치 기반의 ‘화학안전 생태계’ 조성 시동
이번 시민학교는 건강과생명을지키는사람들 외에도 전남·전북도청, 전남녹색환경지원센터, 여수YMCA, 전남환경교육센터 등 다양한 기관이 공동 주관 및 후원하여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커리큘럼을 구축하며, 단순 교육을 넘어선 지역사회 참여형 모델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교육 신청은 화학물질안전원 누리집과 전남도·전북도에서 제공하는 별도 링크를 통해 가능하다.
시민 참여 기반 안전 문화 정착 기대
조성옥 건강과생명을지키는사람들 공동대표는 “시민학교가 지역 중심의 화학안전 문화 형성과 시민 주도형 협치 확립의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며 “많은 주민과 활동가들의 참여를 당부한다”고 전했다.
박봉균 화학물질안전원장은 “이번 시범운영을 통해 지역 주민이 보다 정확한 화학안전 정보를 접하고, 지자체 정책 결정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기반을 다질 것”이라며 “맞춤형 교육과정을 지속 확대해 지역사회 전반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화학안전 시민학교’는 단순한 교육 프로그램을 넘어, 시민이 주체가 되어 지역사회의 안전 문화를 직접 만들어가는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실질적인 대응역량을 갖춘 시민을 양성하고, 정부-지자체-시민 간의 협치 구조를 공고히 하는 이번 시범사업은 향후 대한민국의 화학안전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