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민생 회복을 위해 도입된 소비쿠폰 사업이 본격적으로 국민 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행정안전부의 7월 25일 자 자료에 따르면, 전체 지급 대상자 5,060만 명 중 3,643만 명이 소비쿠폰을 신청해 72%에 해당하는 비율을 기록했다. 지급된 금액은 6조 5,703억 원에 달하며, 신청자는 주로 신용·체크카드, 지역사랑상품권, 선불카드 등을 통해 혜택을 받고 있다.
가장 최근인 25일 하루 동안에도 753만 명이 신청을 완료했고, 이전인 24일에는 741만 명, 23일 720만 명, 22일 731만 명, 21일에는 698만 명이 쿠폰을 신청했다. 꾸준한 상승세 속에서 정부의 소비 진작 목표가 가시화되고 있는 셈이다.
수도권 강세, 지방은 다소 편차
신청자 수와 지급 금액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과 광역시가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서울은 전체 913만 명 중 약 658만 명이 참여해 72.05%의 신청률을 기록했고, 경기 지역은 1,357만 명 중 985만 명 이상이 신청했다. 인천도 302만 명 중 약 232만 명이 참여하며 높은 비율을 보였다.
반면, 전남(66.11%)과 제주(67.20%)는 상대적으로 낮은 신청률을 보였으며, 이는 정보 접근성, 교통 접근성 또는 선호 지급 방식 차이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지급 수단은 카드 중심, 상품권도 활발
신청자의 대부분은 신용·체크카드를 통해 지급받았으며, 약 2,696만 명이 이 방식을 선택했다. 이어 모바일 또는 지류형 지역사랑상품권을 신청한 인원은 약 564만 명, 선불카드 이용자는 60만 명 수준이었다. 지역사랑상품권은 특히 인천, 전남, 전북 등지에서 높은 활용률을 보였다. 예를 들어 전남의 경우 선불카드를 통한 신청이 25만 명에 달했고, 전북은 무려 34만 명이 지류형 상품권을 택했다.
정부, 참여 독려 및 편의성 개선 나서
행정안전부는 “신청률이 높은 지역은 지자체 홍보가 적극적이거나 카드 연계 방식이 간편한 경우가 많다”며, 참여율이 저조한 지역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홍보 및 시스템 안내 강화를 통해 격차를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일부 고령층을 위한 오프라인 신청 안내 및 지역 전담센터 운영도 확대 중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소비쿠폰 사업이 지역 경제 회복에 실질적인 마중물이 되고 있다고 평가한다. 특히 소상공인 밀집 지역에서 소비 촉진 효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지급 방식 다변화를 통해 체감 만족도 역시 상승하고 있다는 의견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