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과 조달 시장에 ESG가 새로운 기준으로 자리 잡으면서, 대응을 제대로 하지 못한 제조업체와 납품기업들은 실질적인 시장 퇴출 위험에 직면하고 있다. ESG 요소는 더 이상 선택사항이 아닌 필수 조건으로, 이 흐름을 외면한 기업은 유통망에서 배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ESG 미흡 대응, 유통 계약 해지 현실화
최근 유통업체와 공공기관은 납품업체 평가 기준에 ESG 요소를 적극 반영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오염 관리 미흡, 사회적 책임 소홀, 지배구조 불투명 등 항목에서 낮은 평가를 받은 기업은 납품 계약 유지가 어려워지고 있다. 일부 대형 유통사들은 ESG 미흡 기업과의 거래 중단을 선언한 바 있으며, 이러한 조치는 앞으로 확산될 전망이다.
제조사의 ESG 전략 부재, 판로 급감으로 직결
특히 소비재 제조업체들은 특판 채널과 공공 납품 경로를 유지하기 위해 ESG 대응 전략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기업이 관련 인증이나 체계적 보고 시스템을 갖추지 못하고 있어, 바이어의 탈이탈 또는 입찰 탈락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ESG 미이행으로 인해 매출의 상당 부분을 상실할 수 있다는 현실적 위기가 대두되고 있다.
공공조달, ESG 기준 강화 속 탈락 기업 속출
공공기관 조달 시장도 ESG 기준 강화 추세다. 환경경영 체계, 근로자 인권 보호, 윤리경영 실천 여부 등이 점수화되며, 기준에 미달할 경우 입찰조차 불가능하다. 특히 중소기업은 이러한 기준을 충족하기 위한 내부 역량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 자칫하면 시장 참여 기회를 상실할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생존의 갈림길, 전략적 전환 필수
업계 전문가들은 "ESG 경영은 생존의 필수조건"이라고 입을 모은다. 기업이 대응을 미루거나 형식적으로 접근할 경우, 향후 1~2년 내 유통망 축소 및 경쟁력 상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한다. ESG 체계를 선제적으로 구축하고, 내부 전사적 전략으로 흡수하는 것이 시장 지속의 핵심이라는 것이다.
정부 또한 이러한 흐름에 맞춰 중소기업 ESG 인증 지원, ESG 컨설팅 확대, 전용 예산 확대 등 실질적 도움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기업의 자발적 준비와 실질적인 실행이 필요하다. 지금 ESG를 등한시하는 기업은 내일 유통 시장에서 사라질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