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날씨 환경 위기 이유는

알아두면 득이 되는 의학 상식

세계보건기구는 기후 위기

제공 - 프로 사진 작가협회

기후 변화는 단순한 환경 문제가 아니라, 전 지구적 건강 위기다.

세계보건기구는 기후 위기를 21세기 최대의 공중보건 도전으로 규정했으며, 폭염, 홍수, 산불, 대기오염 등은 직접적으로 인간의 생명과 질병에 영향을 준다.

 

폭염은 심혈관계 질환과 열사병을 유발하며, 특히 노인, 어린이, 만성질환자에게 치명적이다. 한편 기후변화는 모기나 진드기 등 매개체의 서식지를 넓혀 뎅기열, 라임병, 말라리아 등의 감염병 위험을 증가시킨다. 또한 극단적 기상현상은 식량 불안정과 정신 건강 문제까지 초래한다.

 

건강 시스템 역시 기후 위기에 취약하다. 병원이 침수되거나 정전이 발생하면 긴급 대응이 어렵고, 약품 공급망 붕괴는 만성질환자의 생명을 위협한다.

 

이제 보건정책은 탄소중립, 도시 열섬 완화, 친환경 인프라 구축 등 환경정책과 통합되어야 한다. 의료기관도 에너지 효율 개선, 지속가능한 진료 체계로 전환해야 한다. 기후 위기 대응은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이며, 건강권 수호의 최전선이다.

작성 2025.07.07 11:50 수정 2025.07.07 11:51

RSS피드 기사제공처 : 메디컬라이프 / 등록기자: 김지수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