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구, 성수동에 ‘공공 팝업스토어’ 오픈…도시 상생 실험 본격화

성수 산업혁신공간 등 유휴공간 활용…팝업스토어와 공유공간 결합

임대료 상승·무분별한 상업화 대응…공공 주도 협업 플랫폼 시범 운영

바스켓·북스톤·데스커 등 중소 브랜드 참여…8월 25일까지 한시 운영

성동구가 성수동 뚝섬역 인근 ‘성수 산업혁신공간’ 일대에서 ‘공공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 사진=성동구 보도자료 공공 팝업스토어 외관(왼쪽 사진)과 내부(오른쪽 사진) 모습

 

 

서울 성동구가 성수동 일대 유휴공간을 활용해 ‘공공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 민·관·주민 협업을 통한 지속가능한 상생모델로, 무분별한 상업화에 대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서울 성동구(구청장 정원오)는 성수동 뚝섬역 인근 성수 산업혁신공간 및 외부 공개공지에서 오는 8월 25일까지 ‘공공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성수동은 2014년 도시재생 사업을 시작으로 붉은벽돌 건물의 보존과 기업 유치를 통해 핫플레이스로 부상했으나, 최근 과도한 임대료 상승과 생활쓰레기 문제, 인파 집중 등의 부작용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이에 성동구는 공공 주도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실험적 대안으로 ‘공공 팝업스토어’를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공공 팝업스토어’는 저비용으로 브랜드 홍보와 제품 판매가 가능하도록 공공 공간을 개방해 중소 브랜드와 소상공인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운영 장소는 성수 산업혁신공간 1·2층 및 외부 공개공지로 구성됐으며, 다양한 체험 콘텐츠와 연계 행사를 통해 상권의 질적 균형을 도모한다.

 

 

1층은 전시형 마켓으로 운영되며, 브랜드 제품을 직접 소개하고 판매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이 공간은 방문객에게는 새로운 쇼핑 경험을, 입점 브랜드에는 실질적인 판로 개척 기회를 제공한다.

 

 

2층은 직장인 및 창작자를 위한 ‘코워킹 플레이스’와 ‘네트워킹 라운지’로 꾸며졌다. 데스커 등 가구 브랜드와 협업해 감각적인 업무 환경을 조성하고, 브랜드 간 교류가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산업혁신공간 앞 공개공지는 ‘야장 콘셉트’의 개방형 휴식 공간으로 조성됐다. 이곳은 음료와 쉼이 가능한 공간으로, 자연스럽게 유동 인구가 팝업스토어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번 행사에는 ‘바스켓’, ‘북스톤’, ‘데스커’ 등 감각 있는 중소 브랜드가 참여해 전시와 체험형 콘텐츠를 선보인다. 성동구는 이번 시범 운영을 통해 수요와 효과를 분석한 후, 안심상가·공개공지 등 지역 내 다양한 유휴공간으로 ‘공공 팝업스토어’를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공공 팝업스토어’는 도시 공간의 공공성을 회복하고, 주민과 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협업 플랫폼의 시초가 될 것”이라며 “중소 브랜드와 지역 사회가 함께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모델로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작성 2025.07.18 11:51 수정 2025.07.18 11:51

RSS피드 기사제공처 : 부동산이슈저널 / 등록기자: 강태웅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