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한 장의 얼굴 사진으로 16가지 분위기 성향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에 맞춘 스타일을 제안하는 AI 이미지 분석 플랫폼 ‘캐릭터코드’가 7월 11일 정식 출시됐다.
단순한 뷰티 필터나 유행 테스트가 아닌, 과학적 근거와 전문가 자문을 바탕으로 한 토털 스타일링 솔루션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캐릭터코드’는 밝기, 성향, 매력 선호도, 스타일 네 가지 축을 기반으로 얼굴 데이터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생기 있는 ‘Day’ 타입과 은은한 ‘Night’ 타입, 조용한 ‘Inner’와 활발한 ‘Outer’, 부드러운 ‘female 선호형’과 강인한 ‘male 선호형’, 전통적인 ‘Classic’과 감각적인 ‘Trendy’ 스타일을 조합해 총 16가지 고유 분위기 유형을 도출한다.
예를 들어, 밝고 외향적인 남성 이미지에 클래식 스타일이 어울리는 전문가 분위기형(D-O-M-C)부터, 감성적인 무드의 내향적이면서도 트렌디한 스타일을 가진 감성스타일형(N-I-F-T)까지, 본인의 이미지 성향을 보다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소개팅, 사진 촬영, 면접 등 다양한 상황에서 ‘어떤 분위기인지’ 미리 파악하고 전략적으로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해당 플랫폼은 단순히 얼굴형을 구분하거나 감성적인 피드백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다.
브라질 성형외과의 대가 이보 피탕귀 박사의 얼굴 비율 분석 이론을 기반으로, 심리·미용 설문 데이터, 전문가 인터뷰, 이미지 코디네이터의 자문까지 결합해 정밀도를 끌어올렸다. 이 과정에서 MBTI 자격 과정을 수료한 분석 전문가들이 직접 참여해 질문 설계와 해석 기준을 구성했다는 점도 신뢰를 높인다.
현재는 개인 맞춤 헤어스타일, 메이크업, 의상 추천 기능에 집중하고 있지만, 향후에는 HR 이미지 분석 도구, 기업용 이미지 컨설팅, 콘텐츠 제작 협업 솔루션 등 B2B 영역으로 확장될 예정이다.
개발팀은 “‘캐릭터코드’는 단순 성향 테스트가 아닌, 외적 이미지를 전략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돕는 AI 기반 플랫폼”이라고 설명했다.
‘캐릭터코드’는 단순히 더 예뻐지게 만드는 것을 넘어, 나에게 어울리는 분위기와 스타일을 정확히 파악해주는 솔루션으로, 뷰티와 이미지 전략이 중요한 현대 사회에서 큰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