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랑을 전하는 이발기…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이 주관한 ‘찾아가는 미용봉사’ 활동이 지역 내 어르신 돌봄의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거동이 불편한 무의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이번 미용봉사는 단순한 재능기부를 넘어, 지역사회 연대와 복지의 온기를 더하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미용봉사는 지난 10일 연동면 여성농업인들로 구성된 연동면미용봉사팀(팀장 전순덕)에 의해 진행됐다. 팀원들은 바쁜 농사일 틈틈이 익힌 미용기술을 활용해 노인들의 머리카락을 손질하고, 일상 속 정서적 안정을 돕는 활동을 펼쳤다.
"이발이 아닌 위로입니다"
봉사단체와 복지인력, 손 맞잡고 정기 돌봄체계 구축
연동면미용봉사팀의 활동은 단발적인 봉사로 그치지 않았다. 전순덕 팀장은 지난 6월 27일, 독거노인 약 150명을 담당하는 연동면 생활지원사(팀장 김은주) 10명과 간담회를 열고 복지사각지대 해소 방안을 모색했다. 이 자리에서 생활지원사들은 머리 손질이 어려운 고령 어르신 10명을 추천했고, 이에 따라 봉사팀은 3개월에 한 번씩 해당 어르신 가정을 방문하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협업은 지역 내 복지 담당자와 민간 봉사단체 간의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복지 서비스를 실현한 모범사례로 꼽히고 있다.
"작은 손길로 삶의 질이 바뀝니다"
주민이 주도하는 상생형 복지 실천
전순덕 팀장은 “그동안 지역에서 봉사할 기회가 많지 않아 늘 아쉬움이 있었다”며, “이번 기회를 계기로 더 많은 어르신을 찾아뵙고 우리 마을을 따뜻하게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실제로 봉사단원들은 거동이 어려운 어르신의 머리를 정성스레 손질하며, 단순한 외형 개선을 넘어 ‘심리적 안락감’까지 전달했다는 후문이다.
김은주 생활지원사 팀장도 “머리를 자르지 못해 불편함을 호소하던 어르신들이 이젠 안심하게 되었다”며, “직접 찾아가 봉사하는 분들 덕분에 지역에 따뜻한 기운이 돌고 있다”고 감사의 뜻을 전했다.
지역의 정성과 기술이 만든 따뜻한 돌봄
이번 미용봉사는 연동면이 보여준 지역 밀착형 복지 실천의 대표적인 사례다. 지역 주민 스스로가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을 위한 기술과 자원을 투입해 사회적 약자를 돌보는 구조는 정책 차원의 복지보다 훨씬 빠르고 유연하게 작동한다.
특히 외부 생활지원사와 지역 내 봉사단체가 손잡은 이번 협력은 고립된 어르신 복지에 대한 새로운 해법을 제시했다. 향후 이러한 자발적 네트워크가 더 확산된다면, 제도적 한계를 보완하는 중요한 복지수단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연동면 미용봉사팀’의 활동은 단순한 머리 손질 그 이상이었다. 고립된 어르신에게는 누군가의 손길이, 누군가의 관심이 가장 큰 위로이며 희망이 된다. 마을 사람들이 서로를 돌보는 이 따뜻한 선순환은 복지의 본질을 다시금 떠올리게 만든다. 앞으로 이와 같은 활동이 보다 널리 확산되어, 모두가 함께 웃을 수 있는 지역사회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