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실이 'RE100 산업단지' 조성에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
지난 10일,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직접 나서서 관련 부처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특별법 제정까지 추진하겠다고 밝혔으며 이것은 완전 '재생에너지 대전환'의 서막 인거 같다.
RE100 산단, 대체 뭔데?
RE100이란 2050년까지 기업에서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사용하겠다는 캠페인이며, 재생에너지
(Renewable Electricity)100%의 줄임말이며 태양열,태양광,풍력,수력,지열등 화석연료를 대체 할 수 있는 천연에너지를 말한다.
쉽게 말해, 기업들이 필요한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만 쓰는 'RE100' 달성을 돕고, 동시에 지역의 남아도는 재생에너지를 팍팍 활용하자는 것으로 전력 많이 쓰는 기업들을 재생에너지 풍부한 지역으로 끌어들여서 싸게 전기도 공급하고, 필요한 인프라도 깔아줘서 지역에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지금 우리나라 상황이 좀 웃긴게 재생에너지는 지방에 넘쳐나는데, 정작 전력 수요는 수도권에 몰려있고, 이러다 보니 한쪽에선 에너지가 남아돌아서 버리고, 다른 쪽에선 모자라서 난리인 비효율이 발생한다는 거다. 게다가 지방에서 만든 전기를 수도권으로 보내려면 송전망 깔아야 하는데, 이거 돈도 엄청 들고 시간도 오지게 오래걸린다.
이런 짱나는 비효율을 줄이려고 재생에너지가 빵빵한 지역에 첨단 기업들을 유치해서 에너지도 쓰고, 지역 경제도 살리자는 게 바로 RE100 산단의 핵심 컨셉트다.
파격적인 인센티브와 특별법까지!
그런데 기업들이 갑자기 지방으로 우르르 내려갈 리가 없다.
그래서 대통령실은 파격적인 인센티브랑 젊은 세대가 살고 싶어 할 만한 정주 여건 마련에 진심으로 산업통상자원부를 중심으로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 부처와 전문가들이 뭉쳐서 구체적인 추진 방안을 만들 예정이다.
심지어 'RE100 산업단지 및 에너지 신도시 조성과 지원에 관한 특별법'(가칭)까지 만들어서 법적 기반을 닦겠다고 하고
대통령도 이 보고를 받고 "해당 지역은 규제 제로를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거기에 특별법을 전제로 교육이나 주거 환경을 더 파격적으로 제공하고, 입주 기업들한테 전기료 할인 혜택도 더 늘려주라고 주문했다.
지역 균형 발전의 새 시대 열리나?
대통령은 취임 이후 계속 지역 균형 발전과 지방 우대를 강조해왔는데 이번 RE100 산단 추진은 단순한 '나눠주기'가 아니라, 재생에너지를 지렛대 삼아 지역에 새로운 먹거리와 일자리를 만들어주는 '진짜 성장'의 중요한 축이 될 거라고 강조했다.
RE100 산단이 첫 단추고, 궁극적으로는 '에너지 신도시'로 확장돼서 지역 경제 활성화의 주춧돌 역할을 할 거라는 기대도 크다.
잠재적 후보지로는 재생에너지 발전원이 밀집된 서남권이 유력하고, 설악권이나 울산 같은 곳도 유리할것이며
대통령실은 올해 안에 특별법을 통과시키고, 내년부터는 굵직한 기업들이 이 RE100 산단에 입주하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고하니 과연 이 야심 찬 계획이 우리나라 산업 지도를 어떻게 바꿀지, 좀 지켜봐야 할 것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