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적인 더위가 삼켰다"…폭염에 쓰러지는 노동자들, 언제까지 방치할 건가

온열질환 하루 254명, 7년 만에 최다 기록…열사병 사망자 속출

건설현장·비닐하우스 ‘무방비’…50인 미만 사업장은 지원도 사각지대

정부, 뒤늦은 대책 내놨지만…현장선 “체감 효과 전무”

폭염에 무너지는 생명선…노동자·농업인 연이어 쓰러져

2025년 7월 8일, 질병관리청은 전국에서 온열질환자 254명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는 2018년 8월 이후 7년 만에 하루 환자 수가 200명을 넘긴 기록이다. 연일 이어지는 극한의 더위 속에서 노동자와 농업인을 중심으로 사망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체감기온 35도를 웃도는 야외에서 장시간 작업에 나선 이들이 고온에 그대로 노출되며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 며칠간 폭염주의보와 경보가 전국 대부분 지역에 발령된 가운데, 건설현장, 비닐하우스, 논밭 등 고온다습한 작업환경은 노동자를 사지로 내몰고 있다. 특히 외부 근로자와 고령 농업인은 땀을 배출할 여유조차 없이 쓰러지는 일이 속출하고 있다.

[사진 출처: 폭염에 지진 노동자와 농업인 이미지, 챗gpt 생성]

고위험 사업장, 여전히 방치…“폭염도 재난이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8일 보고된 온열질환자 254명 중 대부분이 실외 근무자였다고 밝혔다. 의료계에 따르면 열사병은 체온이 40도를 넘으며 의식을 잃는 중대한 응급상황으로, 30분 이내 조치가 없으면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다. 하지만 현장의 대응 체계는 턱없이 부족하다.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의 경우, 폭염 대응 지침이나 장비 지원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여전히 많은 현장에서 시원한 물과 그늘막, 쿨링 장비조차 없이 근무가 이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 스스로 판단하여 휴식을 취하지 않는 한, 온열질환을 예방할 방법이 없다.

 


정부 대책, 현장에선 “현실과 거리 멀어”

정부는 뒤늦게 폭염 대응 대책을 내놓고 있다. 고용노동부와 행정안전부는 폭염 고위험 작업장에 이동식 에어컨과 제빙기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특히 50인 미만 사업장을 중심으로 집중 지원한다고 밝혔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지원 대상 기준이 까다롭고, 신청 절차도 복잡해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실제로 제빙기나 이동식 냉방기 설치에는 전력 인프라와 공간 조건이 필요하지만, 대부분의 비정형 작업현장에서는 이를 갖추기 어렵다. 일선 노동자들은 “당장 얼음물 한 통만 있어도 살겠다”고 호소한다.

 


2025년 여름, 한반도를 강타한 폭염은 노동자와 농업인의 생명을 직접 위협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의 통계는 현장이 얼마나 위태로운지를 보여주는 증거다. 정부는 폭염을 재난으로 인식하고, 형식적인 지원이 아닌 실제 작업환경을 고려한 실질적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더는 현장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


 

폭염은 자연재해일 뿐 아니라, 이제는 인명피해를 동반하는 사회 재난이다. 반복되는 폭염 속에서 취약 노동자들이 매년 목숨을 잃는 악순환은 이제 멈춰야 한다. 정부는 정책적 공백을 메우고, 기업은 작업환경을 개선하며, 사회 전체가 안전망 구축에 나서야 할 때다.

 

 

 

 

 

 

작성 2025.07.10 22:53 수정 2025.07.10 22:56

RSS피드 기사제공처 : 라이프타임뉴스 / 등록기자: 박준용 정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