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케시그룹의 AI 전문 사내벤처 다큐브(대표 윤예지)가 국제 자연어-데이터 질의 변환(NL2SQL) 성능 평가인 ‘Spider 2.0’ 벤치마크에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다큐브는 8일, 이번 평가에서 ‘DBT(Data-Based Text-to-SQL)’ 부문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Spider 2.0’은 미국 예일대학교(Yale University) 연구진이 주관하는 세계적 권위의 NL2SQL 성능 평가 지표로, 자연어 기반 질문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실행 가능한 SQL 쿼리로 정확하게 변환하는 기술을 종합적으로 측정한다.
평가 항목에는 쿼리의 정확도, 실행 일치율, 에러 일관성 등이 포함되며, 복수 테이블 간 조인, 중첩 조건, 그룹핑, 정렬 등 고난도 항목에서도 다큐브는 최고 점수를 받아 기술력을 입증했다.
다큐브는 2021년 웹케시그룹의 사내벤처로 출범해 지난 4년간 NL2SQL 분야에 집중 투자해왔다. 이 과정에서 독자적인 AI 기술을 축적하고, 국내 최고 수준의 AI 인력을 확보하며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성장해왔다.
이번 성과는 웹케시그룹이 추진 중인 ‘금융 AI 에이전트’ 사업의 기술적 토대를 강화하는 데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웹케시는 현재 AICFO, 브랜치Q, 서울페이 등 다양한 금융 AI 솔루션을 선보이며 시장 내 레퍼런스를 확장하고 있으며, 다큐브의 기술력은 이들 서비스의 고도화를 이끌 핵심 역량으로 주목받고 있다.
윤예지 다큐브 대표는 “SQL 언어를 몰라 데이터 분석에 어려움을 겪는 고객의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시작한 기술 개발이 세계적 경쟁력으로 이어졌다”며, “이번 성과를 통해 다큐브의 기술이 글로벌 무대에서도 충분히 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다”고 말했다.
이번 Spider 2.0 1위 달성은 국내 AI 산업이 글로벌 3대 강국 도약을 목표로 삼는 가운데, 특정 AI 분야에서 실질적인 세계 최고 성과를 낸 사례로서 주목된다. 특히, 범용 파운데이션 모델인 ‘소버린 AI’와 병행해 특화 기술을 집중 육성하는 고도화 전략의 가능성을 보여준 점에서 산업적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한편, 다큐브는 음성과 텍스트 기반의 ‘업무용 GPT’ 기술을 중심으로 금융 및 일반 산업군 기업들을 위한 맞춤형 AI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데이터 보호와 보안에 특화된 기술력으로, 국내 B2B 업무용 AI 시장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
웹사이트: https://daquv.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