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박수영 의원이 최근 페이스북에 올린 글이 부산 시민의 분노를 사고 있다. 그는 이재명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두고 “당선 축하금”이라며 비아냥거렸고, “우리 부산 시민은 25만 원 필요 없다”고 주장했다. 본인의 지역구인 부산 남구 시민 전체의 의사를 마치 자신이 대표해 말할 수 있다는 듯한 오만한 표현이다.
정치인의 발언은 단순한 의견 표명이 아니라, 국민이 위임한 권력의 행사다. 박 의원은 국민의 선택을 받은 공직자로서 국민 전체의 삶을 살피고, 정책의 효과를 공정하게 판단해야 할 책임이 있다. 그러나 이번 발언은 정책의 본질을 정치적 적대감으로 왜곡하고, 정당의 이해관계를 시민 위에 올려놓은 전형적 정당편향 정치의 민낯을 드러낸 것이다.
현재 정부가 추진하는 민생 소비쿠폰 정책은 당장의 생활비 부담을 덜어주고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목적이다. 비판할 수는 있지만, 그것이 ‘당선 축하금’이라는 비아냥으로 변질되어야 할 이유는 없다. 더군다나 “부산 시민은 25만 원 필요 없다”는 발언은 취약계층의 삶을 도외시한 채, 경제적 현실과 민심에 대한 무지를 드러낸 것에 다름 아니다.
박 의원의 글에는 “당신이 뭔데 반대하느냐”, “나 부산 시민인데 박수영 필요 없다”는 시민들의 댓글이 쇄도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감정적 반응이 아니다. 시민들은 정치인이 민의를 왜곡하고 정쟁의 수단으로 국민의 삶을 희생시킬 때, 그 책임을 묻겠다는 의지를 드러내는 것이다.
지역균형발전과 공공기관 이전 역시 부산에 큰 도움이 되는 정책이다. 하지만 이마저도 “해수부 대신 산업은행을 남구에 보내달라”는 식으로 정당과 지역 이익을 맞바꾸려는 듯한 발언은 공공 정책을 협상물로 전락시킨 것이다. 정치란 국익과 민생이라는 큰 틀 안에서 지역 발전을 논의해야지, 마치 권력을 통해 '뭘 더 받아내느냐'는 거래의 장이어서는 안 된다.
그래서 시민은 당이 아니라 사람을 보고, 삶을 바꿔줄 희망을 보고 표를 던져야 한다. 국회의원이 그 책임을 망각하고, 자신이 속한 당의 적대심을 내세워 국민을 나누고 조롱할 때, 그 결과는 외면과 퇴장으로 되돌아온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