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 북구 양산동의 한 주상복합아파트가 준공 1년이 지나도록 입주자를 찾지 못하고 있다. 전체 153세대 중 148세대가 미분양 상태로, 무려 97%가 빈집으로 남아 지역 부동산 시장의 침체를 실감케 한다.
지난 3일 찾은 이 아파트 단지는 적막감이 감돌았다. 1층부터 4층까지 상가는 주인을 찾지 못한 채 텅 비어 있거나, 분양 현수막 더미를 쌓아둔 창고로 쓰이고 있었다. 건물 입구에는 ‘즉시 입주’, ‘매매·전세 문의’, ‘상가 임대 공용 관리비 면제, 리모델링 지원, 입점 축하금 지급’ 등의 현수막만 덩그러니 걸려 있었다.
이 아파트는 첨단지구와 인접해 있고 주변에는 먹자골목 등 번화가도 있지만, ▲세대수 부족으로 인한 ‘나홀로 아파트’ 한계 ▲부족한 학군 ▲주변 시세보다 높은 5억원 후반대 분양가가 미분양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시행사와 건설사는 분양가를 최대 1억원까지 할인하거나, 4년 전세 전환 등의 공세적 마케팅을 펼치고 있지만, 효과는 미미하다.
인근 공인중개사 김모(60)씨는 “세대수가 적어 관리비 부담이 크고, 최근 지역 건설사들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전세 계약도 꺼리는 분위기”라며 “미분양 해소는 당분간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국토교통부 통계누리 미분양주택현황에 따르면, 광주지역 미분양 아파트는 지난해 기준 1,242세대, 준공 후 미분양은 지난 5월 기준 419세대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270세대) 대비 35% 증가한 수치다.
이처럼 장기 미분양이 이어질 경우 건설사 경영 악화는 물론, 지역 경기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대한주택건설협회 광주전남도회 홍광희 사무처장은 “지방 미분양 문제 해결을 위해 양도세 한시 감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한시 규제 완화 등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DSR은 대출받은 사람의 연간 소득 대비 원금과 이자 상환 비율이 40%(은행 기준)를 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규제다. 현재 정부는 수도권 집값 안정을 위한 고강도 대출규제를 예고한 상태지만, 전문가들은 지역 상황을 반영한 차별화된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문의 : 010-8025-81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