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도시주택 분야의 실질적인 정책 실행을 위해 다섯 개 자치구와 협력의 고삐를 바짝 조였다. 시는 지난 6월 30일 시청 도시주택국 회의실에서 '2025년 제1회 도시주택분야 시-구 정책협의회'를 열고 도시계획, 재생사업, 주택정비, 건축제도 등 다양한 현안에 대해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는 대전시 도시주택국장을 비롯한 시·구의 관련 국·과장 등 12명이 참석해, 시와 자치구 간 협업 강화를 위한 의견을 활발히 교환했다.
핵심 논의는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조성된 공동이용시설의 운영 문제에 집중됐다. 일부 시설에서 활용도 저하가 지적됨에 따라, 시는 앞으로 사업 초기 단계에서부터 운영 및 관리 계획을 병행 수립하는 체계를 마련할 방침이다.
또한 이미 완공된 6개 시설에 대해서는 대전시와 자치구가 합동으로 실태를 점검하고, 결과를 토대로 개선 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자치구들은 도시주택 정책에 대한 각자의 건의사항도 적극적으로 제안했다. 동구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지에 전문인력 지원을 요청했고, 중구는 소규모 주택정비 관리지역에 대한 기반시설 지원 및 건축심의 기준 완화를 요구했다. 서구는 정당 현수막의 체계적 관리 개선, 유성구는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해제 기준 마련을 건의했다.
이에 대해 대전시는 요청사항을 면밀히 검토해 반영할 계획이며, 특히 개발제한구역 내 집단취락지구에 대한 체계적인 정비 계획도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또한 행정안전부의 빈집정비사업에 자치구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하고, 도시재생사업의 지속성과 사후관리 강화도 협력 과제로 설정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이번 협의회는 도시주택 정책을 시와 자치구가 공동으로 해결해가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 추진으로 시민 삶의 질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대전시는 도시주택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협력 모델을 가동하며, 자치구와의 유기적 거버넌스를 통해 지속 가능한 도시발전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행정 협업과 실태 점검 중심의 접근이 향후 전국 지자체의 모범사례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