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연구원이 연구보고서에 제기된 표절 의혹과 관련한 위원회 운영을 1년 넘게 공개하지 않아 교육행정의 투명성과 책임성이 도마 위에 올랐다.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의 자료 요청에도 불구하고 경기도교육연구원이 비공개 방침을 고수해 ‘의도적 은폐’라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소속 김광민 의원은 지난 2월 14일, 도교육연구원의 연구윤리조사위원회 회의 의결내역을 포함한 각종 위원회 자료를 요청했다.
김 의원은 “연구보고서에 제기된 표절 및 연구 부정행위 여부를 조사할 의지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연구원 측은 핵심인 ‘연구윤리조사위원회 해당 회의자료’를 제외한 다른 회의록만 제출했다.
김 의원이 이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지만, 연구원은 “조사가 아직 진행 중”이라며 자료 공개를 거듭 미뤘다.
더욱이, 도교육연구원은 지난해 11월까지 조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지만, 실제로는 부정행위 제보 접수 1년이 지난 올해 3월에 뒤늦게 재조사 계획을 수립한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 지연과 비공개 결정에 고의성이 크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16일 도의회 상임위에서 김 의원은 “처음엔 존재하지 않는다더니, 윤리조사위 의결자료를 명확히 요청하자 그제야 일부를 제출했다”며 “명백한 자료 회피이며, 사안을 은폐하려는 의도”라고 강하게 질타했다.
김 의원의 질의에 도교육청 관계자는 “윤리조사위 관련 사항을 이제야 파악하게 되었고, 민감한 비공개 내용이 많다”며 말을 아꼈다.
사태의 심각성은 단순한 행정 미비를 넘어 교육청의 관리책임 부재로 확산되고 있다.
김 의원실에 따르면, 연구원을 관리감독하는 경기도교육청 기획조정실이 해당 의혹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김진숙 경기도교육연구원장은 “표절 의혹에 대해 민원인과 해당 연구원이 공동으로 이의제기가 있어 재조사 중이며, 이 과정에서 자료 제출이 지연됐다”고 해명했다.
교육정책을 뒷받침하는 연구현장에서 발생한 중대한 연구윤리 위반 의혹이 행정의 미흡한 대응과 겹치면서, 경기도 교육 전반에 대한 ‘신뢰도 하락’이라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