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거운 빈집 고민, ‘농촌빈집은행’에 내려놓으세요!

10개 지자체*의 빈집 소유자에게 빈집 거래 동의 요청문자 발송(6월 11일(수)~) * 충주·옥천(충북), 예산·홍성(충남), 여수(전남), 예천(경북), 의령·거창·합천(경남), 제주

전국 40여기 전광판 및 SNS 등 활용 ‘농촌빈집은행’ 안내·홍보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빈집데이터 이미지(2건)_7차수정_대지 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481pixel, 세로 1749pixel
사진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가 방치된 농촌 빈집을 거래 가능한 자산으로 전환하기 위한 '농촌빈집 거래 활성화(농촌빈집은행)' 사업을 본격 시행한다. 해당 사업은 지자체가 수집한 빈집 정보를 민간 부동산 플랫폼과 귀농귀촌종합지원 플랫폼에 등록해 수요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이다.

 

부동산 플랫폼 연계...공인중개사 매물화 지원

‘농촌빈집은행’은 공공이 수집한 빈집 정보를 한방, 디스코, 네이버부동산 등 민간 플랫폼과 귀농귀촌종합지원 플랫폼 ‘그린대로’에 등록해 매물로 전환하는 것을 지원한다. 농식품부는 3월부터 참여 지자체 모집과 함께 지역별 관리기관 및 협력 공인중개사 선정을 추진해왔다.

현재까지 경기도 이천, 충북 충주·제천·옥천, 충남 예산·홍성, 전북 부안, 전남 강진·광양·담양·여수·영암·완도, 경북 예천, 경남 의령·거창·합천, 제주 등 총 18개 지자체와 4개 관리기관, 약 100여명의 공인중개사가 참여를 확정했다.

 

빈집 소유자 동의 절차 착수...10개 지자체 문자 발송

빈집이 거래 가능한 매물로 등록되기 위해선 소유자의 거래 동의가 필수다. 이에 따라 오는 6월 11일부터 제주, 충주, 옥천, 예산, 홍성, 여수, 예천, 의령, 거창, 합천 등 10개 지자체에서 빈집 소유자에게 거래 동의 여부를 확인하는 문자 발송을 시작한다. 나머지 8개 시·군도 실태조사를 거쳐 순차적으로 참여를 확대할 예정이다.

문자 수신자는 온라인을 통해 동의서를 제출할 수 있으며, 이후 협력 중개사가 현장 확인을 통해 거래 가능성을 판단한다. 거래가 가능하다고 판정된 빈집은 곧바로 민간 플랫폼에 등록된다.

 

전국 전광판·온라인 통해 홍보 강화

농식품부는 사업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6월 한 달간 전국 40여개 전광판에 국가광고를 실시하고, 홈페이지와 SNS 등 다양한 온라인 채널을 활용한 홍보도 병행할 계획이다.

박성우 농촌정책국장은 “이번 사업은 방치된 빈집을 주거, 창업, 여가 공간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회”라며 “빈집 소유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농촌의 유휴자산을 실수요자와 연결하는 새로운 거래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기타문의:043-271-6500

상담문의:하경공인중개사사무소:네이버 블로그(naver.com)

만복부동산TV - YouTube

작성 2025.06.14 16:45 수정 2025.06.15 22:01

RSS피드 기사제공처 : 한국AI부동산신문 / 등록기자: 엄만섭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