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여름철 집중호우와 같은 자연재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3월 말부터 5월 말까지 도내 21개 시군 및 한국농어촌공사와 함께 저수지 비상대처 훈련을 진행했다.
이번 훈련은 예기치 못한 집중호우, 태풍, 지진 등으로 인해 저수지가 붕괴되거나 파손될 경우를 가정해, 사전에 수립된 비상대처계획(EAP)에 따라 하류 지역 주민들이 신속히 대피하고 관련 시설을 응급 복구하는 과정을 실전처럼 점검하기 위해 마련됐다.
비상대처계획(EAP)은 저수용량 20만㎥ 이상의 저수지를 대상으로 수립되며, 피해 예상 지역, 응급 대응 요령, 주민 대피 절차 등을 포함한 종합적 대응 매뉴얼이다.
경북도는 실제 재난 상황을 반영한 현장훈련과 다양한 상황에 대비한 **도상훈련(시뮬레이션)**을 병행해 민·관 합동 대응체계를 점검하고, 재난 대응 역량을 실질적으로 강화하는 데 중점을 뒀다.
훈련은 집중호우로 저수지 수위가 급격히 상승하고 일부 제방이 유실돼 붕괴가 우려되는 가상의 시나리오에 따라 진행됐다. 이에 따라 주민 대피령이 발령되고, 유관기관이 협력해 대피 유도, 긴급 구조 및 복구 작업이 이뤄지는 등 실전 중심의 훈련이 전개됐다.
김주령 경상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이번 훈련은 실전 상황을 가정한 체계적인 훈련으로, 유관기관 간 협업과 대응체계를 점검하는 소중한 기회였다”며 “앞으로도 훈련에서 드러난 보완점을 개선해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는 빈틈없는 대응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