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저출생 극복을 위한 핵심 국정과제로 ‘Korea 아이 천국 + 공동체 회복 프로젝트(이하 K-아동 프로젝트)’를 발굴했다고 13일 밝혔다.
경북도는 지난해 전국 최초로 ‘저출생과의 전쟁’을 선포하며, 정부의 인구 비상사태 선포를 견인하는 등 저출산 대응에 앞장서 왔다.
하지만 단순한 경제적 지원만으로는 저출생 및 지방소멸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정책·서비스·문화·공동체 재건 등 다차원적 접근이 가능한 융합 프로젝트를 추진하게 됐다.
3대 전략 분야·11개 과제 구성… 인구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K-아동 프로젝트는 다음의 세 가지 전략 분야로 구성된다.
-
‘Kids First’ 아이 천국 프로젝트
-
규제 프리존 형태의 저출생 극복 융합 돌봄 특구 조성
-
세계 어린이 장난감박물관 설립
-
어린이 전문 통합의료센터 구축
-
국립 청소년 디지털 교육관 신설
수도권과 경쟁 가능한 아동 친화 환경 조성을 핵심으로 한다.
-
-
공동체 회복 프로젝트
-
육아 친화형 두레마을 조성
-
한국판 ‘Sun City’ 은퇴자 복합단지 개발
-
창의‧과학 중심 인재 양성 지구 조성
-
여성 창업 지원 공간 ‘꿈 키움 라운지’ 마련
세대가 함께 성장하고 아이 중심의 마을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
-
‘저출생과 전쟁’ 국가 확산 프로젝트
-
스마트 돌봄 밸리 기반 지방 거점도시 육성
-
국립 인구정책연구원 설립
-
저출생 인식개선을 위한 국민참여 운동 전개
수도권 편중 완화와 함께, 국가 백년대계로서의 인구정책 연구 기반 조성이 목적이다.
-
정부 협의 및 반영 추진… 경북, 국가 인구정책 실험실로
경북도는 해당 프로젝트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시군과 협력해 과제별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며, 향후 제5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26~2030)과 새 정부의 국정과제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정부 부처 및 국회 등을 상대로 적극적인 건의 활동에 나설 계획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저출생과 지방소멸 문제는 통합적이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며, “경북을 인구정책 실험의 거점으로 삼아 전국 확산 모델을 선도하고, 새 정부 과제로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