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아이는 시력이 1.0인데 왜 글을 읽을 때마다 집중을 못 할까요?”
공부보다 게임을 좋아하고 책상 앞에 오래 못 앉는 아이를 보면 대부분 ‘성격 문제’나 ‘주의력 부족’을 먼저 떠올립니다. 하지만 그 원인은 의외로 ‘눈’에 있을 수 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눈과 뇌가 함께 움직이지 못하고 있는 상태, 바로 ‘시기능 저하’입니다.
눈은 보는 기관이 아니라 ‘뇌의 언어’를 배우는 기관입니다
눈은 카메라 렌즈처럼 세상을 담아 보내는 역할을 하고 그 이미지를 해석하고 의미를 드는 건 ‘뇌’입니다.
즉, 시기능은 단순한 시력이 아니라 눈과 뇌의 협응력, 그리고 집중력의 합작입니다. 최근 신경과학 연구는 이 사실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성인의 시각 피질(V1)도 여전히 새로운 자극에 반응하며 스스로 회로를 재구성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입니다. 뇌는 나이를 먹어도 계속해서 다시 보는 법을 배우는 기관입니다.
시기능 훈련은 눈 운동이 아니라 ‘뇌의 재훈련’입니다
시기능 훈련은 단순히 초점을 맞추거나 근육을 움직이는 운동이 아닙니다. 그 과정에서 뇌의 시각 회로가 다시 깨어납니다. 한쪽 눈이 덜 쓰이거나 협응이 깨지면 뇌는 스스로 균형을 맞추기 위해 그쪽 눈의 신호를 더 강하게 받아들이려 합니다.
이 현상을 ‘항상성 신경가소성(Homeostatic Plasticity)’이라 부릅니다. 즉, 시기능 훈련은 뇌의 자연스러운 회복 메커니즘을 자극하는 과정입니다.
뇌 속의 ‘연합 필드’, 집중력의 회로
책을 읽을 때 줄을 놓치거나 글자가 흐려지는 아이들은 뇌 속에서 시각 정보를 한 줄로 연결하는 ‘연합 필드(association field)’의 작동이 약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 회로는 우리가 보는 글자, 선, 형태를 하나의 그림처럼 통합합니다.
시기능 훈련은 이 회로를 다시 단련시켜 두 눈이 한 줄을 따라가며 읽는 협응 능력을 회복시킵니다. 그 결과 독서 속도, 이해력, 집중력이 함께 좋아집니다.
반복 훈련이 뇌의 회로를 다시 짠다
지각 학습(perceptual learning)은 같은 자극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면서 뇌의 반응 속도와 정확도를 높이는 과정입니다. 시기능 훈련이 바로 이 원리 위에 있습니다. 글자 따라가기, 초점 유지, 양안 협응 훈련을 꾸준히 반복할수록 뇌는 그 자극에 익숙해지고, 정보 처리 속도가 빨라집니다.
결국 눈의 변화가 아니라 뇌의 회로 재배선(neural rewiring)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회복과 학습은 같은 메커니즘이다
시각 피질은 손상된 기능을 회복할 때와 새로운 시각 정보를 배울 때 같은 회로를 사용합니다.
즉, 시기능 훈련은 단순한 회복이 아니라 ‘뇌의 학습력 자체를 강화하는 과정’입니다.
그래서 시기능 훈련을 받은 아이들이 단지 글을 더 잘 읽는 수준을 넘어 집중력·이해력·기억력까지 함께 좋아지는 것입니다. 두 눈의 균형이 무너지면 뇌의 리듬도 흔들립니다.
양쪽 눈의 초점이 미묘하게 다르면 뇌는 두 이미지를 합성하느라 에너지를 과도하게 씁니다. 이때 시각 피질 내부의 수평 연결(horizontal connections) 회로가 불균형해지면 눈의 피로가 곧 집중력 저하와 두통, 학습 피로로 이어집니다.
시기능 훈련은 이 회로를 다시 맞춰 양안 협응력과 뇌의 리듬을 회복시켜 줍니다.
눈의 훈련은 결국 뇌의 성장이다
시기능 훈련은 ‘시력 향상’보다 더 근본적인 변화
즉, 뇌의 성장과 재학습을 이끌어냅니다.
이 훈련을 받은 아이들은 시야가 넓어지고 글이 더 쉽게 읽히며, 생각이 더 오래 머무릅니다. 그리고 성인에게도 같은 변화가 일어납니다. 모니터를 오래 보는 직장인, 집중이 잘 안 되는 성인에게 시기능 훈련은 뇌의 피로를 덜어주는 새로운 해법이 됩니다.
지금이 바로 점검의 타이밍입니다
눈의 문제는 단순히 시력표로는 보이지 않습니다. 시기능 검사는 ‘보는 힘’이 아닌 ‘집중하는 힘’을 측정합니다. 아이의 학습력이 떨어졌다면, 혹은 성인이 되어도 눈의 피로와 집중력 저하가 잦다면 지금이 바로 시기능을 점검해야 할 때입니다.
이종진 대표 주요 이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졸업
아이웨어 안경원 대표
(사)한국시기능훈련교육협회 회원
포도나무사회적협동조합 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