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경정신의학회가 주최한 2025 정신건강의 날 기념 ‘마음건강 Talk Talk 페스티벌 – 내 친구를 소개합니다Ⅱ’가 10월 26일 정동1928아트센터에서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이번 행사는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와 환우, 관련 전문가, 시민이 함께 모여 ‘우리는 진료실 밖에서 서로를 돕는 친구입니다’를 주제로 정신건강의 공감 문화를 나누는 자리로 마련됐다.
행사는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의 달리기 모임 ‘마인드런’의 서영은(국립법무병원)·김형찬(서울메디의원) 전문의가 진행한 오픈 클래스 ‘달리기가 정신건강에 중요한 이유’로 문을 열었다. 두 전문의는 달리기를 통해 우울감과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진료에도 긍정적 영향을 받은 경험을 전하며 신체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오프닝 스피치에서는 ‘소중한 사람을 위해 우울증을 공부합니다’의 저자 최의종 작가가 아내의 우울증을 함께 극복한 경험을 이야기했다. 그는 “우울증 환자는 상황의 문제이지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환자와 가족 모두의 이해와 배움이 필요함을 전했다. 이어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백종우 정책연구소장이 가족과 사회 차원의 응급 지원 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Talk Ⅰ에서는 교사들의 마음건강을 주제로 조현서·위지영 교사와 김현수 성장학교 별 교장이 ‘행복한 교실을 꿈꾸며’라는 제목으로 대화를 나눴다. 교사들은 SNS 댓글 폭력 등으로 인한 심리적 소진 문제를 언급하며, 학교 차원의 보호 시스템과 공동체적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Talk Ⅱ에서는 김용희 소방경, 박영민 소방령, 백명재 경희대학교병원 교수, 정찬승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회공헌특임이사가 ‘내면의 불 끄기, 함께라서 가능한 나’를 주제로 트라우마 극복 경험을 공유했다. 김용희 소방경은 현장 경험에서 비롯된 트라우마를, 박영민 소방령은 오랜 기간 쌓여온 상처가 가족과의 관계에 미친 영향을 이야기했다. 이에 정찬승 이사는 “너만 그런 게 아니야”라는 공감이 치유의 출발점이라고 말했다.
Talk Ⅲ에서는 방송인 이성미, 가수 백지영,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채정호 서울성모병원 교수가 ‘그들도 위로가 필요한 사람’을 주제로 연예인 자살 예방 활동을 소개했다. 이성미는 “어린 연예인들에게 따뜻한 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고, 백지영은 “99%의 후배들에게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채정호 교수는 “연예인의 극단적 선택은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며 대중의 관심을 당부했다.
행사의 마지막은 가수 백지영의 공연 ‘희망의 노래, 치유의 선율’로 장식됐다. 300여 명의 관객이 함께한 이번 페스티벌은 공감과 치유, 그리고 마음의 거리를 좁히는 뜻깊은 축제로 마무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