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경정신의학회가 주최한 ‘2025 마음건강 Talk Talk 페스티벌 - 내 친구를 소개합니다Ⅱ’가 서울 정동1928아트센터에서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올해 2회를 맞은 이번 행사는 ‘진료실 밖에서도 서로를 돕는 친구’라는 메시지를 중심으로, 의사·환자·전문가·시민이 한자리에 모여 공감과 치유의 의미를 나눴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가 주관한 ‘2025 정신건강의 날 기념 마음건강 Talk Talk 페스티벌’이 지난 10월 26일 서울 정동1928아트센터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는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와 환우, 그리고 일반 시민이 함께 참여해 ‘진료실 밖에서도 서로를 돕는 친구입니다’라는 주제 아래 공감과 치유의 시간을 가졌다.
달리기에서 시작된 공감의 메시지
행사의 시작은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의 달리기 모임 ‘마인드런(Mind Run)’이 맡았다.
‘달리기가 정신건강에 중요한 이유’를 주제로 오픈 클래스를 진행한 서영은(국립법무병원), 김형찬(서울메디의원) 두 전문의는 “신체 활동이 스트레스 해소와 감정 회복에 직접적인 도움을 준다”며, 달리기를 통해 우울감과 중독 문제를 극복한 환자들의 사례를 소개했다.

사진=대한신경정신의학회
“우울증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상황의 문제”
오프닝 스피치에서는 『소중한 사람을 위해 우울증을 공부합니다』의 최의종 작가가 자신의 경험을 들려줬다.
그는 “우울증 환자는 물에 빠진 사람과 같아, 단순한 의지가 아닌 환경의 이해가 필요하다”며, 환자와 가족 모두의 학습과 공감이 중요하다고 말했으며, 이어 백종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정책연구소장은 “정신적 위기 상황에서 가족과 사회가 함께 대응할 응급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진=대한신경정신의학회
교사들의 마음건강, 학생의 행복으로 이어지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교사 실천모임 ‘관·심·단’의 조현서·위지영 교사와 김현수 성장학교 별 교장이 ‘행복한 교실을 꿈꾸며’라는 주제로 토크를 이어갔다.
이들은 “SNS를 통한 비대면 악성 댓글이 교사들에게 심각한 스트레스를 주고 있다”며, 교사 개인이 아닌 학교 차원의 보호 시스템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고, 또한 교사의 정신건강이 학생 20~30명의 정서적 안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하며, 교육공동체 전체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사진=대한신경정신의학회
트라우마, 함께 이겨낼 때 진정한 회복이 시작된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김용희 소방경, 박영민 소방령, 백명재 경희대학교병원 교수, 정찬승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회공헌특임이사가 ‘내면의 불 끄기, 함께라서 가능한 나’를 주제로 토크를 진행했다.
김용희 소방경은 “초임 시절의 사고 현장이 아직도 생생하다”며, 동료 간의 지지와 공감이 가장 큰 힘이 된다고 밝혔고, 박영민 소방령은 “장기간 누적된 트라우마가 가정 내 단절로 이어질 수 있다”고 고백하며, 심리적 회복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정찬승 이사는 “트라우마 직군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너만 그런 게 아니다’라는 공감의 언어”라고 말했다.

사진=대한신경정신의학회
연예인 자살 예방, 모두의 관심이 필요하다
세 번째 세션에서는 방송인 이성미, 가수 백지영, 채정호 서울성모병원 교수가 ‘그들도 위로가 필요한 사람들’이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나눴다.
이성미는 “13살부터 활동을 시작하는 아이들이 따뜻한 시선 속에서 성장할 수 있길 바란다”고 했으며, 백지영은 “대중의 관심이 소수의 성공보다 다수의 삶을 지탱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채정호 교수는 “연예인의 극단적 선택은 사회 전체의 정서에 깊은 상처를 남긴다”며, 미디어와 대중이 함께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대한신경정신의학회
음악으로 마무리된 치유의 시간
행사의 마지막은 가수 백지영의 ‘희망의 노래, 치유의 선율’ 공연으로 장식됐다. 약 300여 명의 관객도 공연과 토크가 어우러진 무대에서 마음의 거리를 좁히며 따뜻한 에너지를 나눴다.
이해국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대외협력홍보특별위원장은 “전문가와 시민이 함께한 이번 행사는 진료실을 넘어선 새로운 정신건강 문화의 시작”이라며 “공감과 연대의 문화가 더 넓게 확산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