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은 오는 10월 30일 서울 정동1928 아트센터 컨퍼런스룸에서 ‘수도권 지역경제동향 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서울연구원, 인천연구원과 공동으로 주최하며, 지역특화 경제동향지수를 기반으로 수도권의 경제 흐름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첫 번째 주제발표에서는 고봉현 제주연구원 지속성장연구실장이 ‘지역경제 특성을 고려한 제주 경기동향지수 개발과 운영 사례’를 소개한다. 그는 관광 서비스업 중심의 산업 구조와 전국 지표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기존 지수의 한계로 지적하며, 민간 데이터와 지역 특화 지표를 결합한 고도화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두 번째 발표는 김진하 서울연구원 경제모니터링연구단장이 맡아 ‘서울소비경기지수 개발과 운영 사례’를 발표한다. 해당 지수는 신용카드 매출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매업, 숙박·음식업 등 12개 업종을 종합 분석해 서울 5개 권역의 소비경기 변동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세 번째 발표에서는 최태림 인천연구원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장이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천시 뉴스심리지수 개발 사례’를 다룬다. 그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의 주요 경제·사회 분야 뉴스를 분석해 언론 보도 속 감성어를 정량화함으로써 인천 지역의 경기 상황을 실시간으로 진단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한 연구 성과를 공유한다.
정승일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좌장을 맡는 종합토론에서는 수도권 경제 전반의 동향을 분석하고 협력적 정책 방향을 논의한다. 토론에는 허진욱 숙명여대 경제학과 교수, 김소정 한국은행 통계연구팀 과장, 김건호 경기연구원 미래전략연구실 연구위원, 우영진 서울연구원 경제혁신연구실 연구위원 등이 참여한다.
강성천 경기연구원 원장은 “이번 포럼은 산업, 인구, 소비, 혁신이 집중된 수도권을 하나의 생활권으로 보고 경제 흐름을 체계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광역 협력의 첫걸음”이라며 “시·도별 정책 역량을 강화하고, 수도권의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의미 있는 논의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