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국가가 행복을 법으로 정한다면, 그것은 여전히 행복일까. 연극아기공장은 이 불편한 상상에서 출발한다. 11월 15일과 16일, 신촌 극장 PLOT에서 무대에 오르는 이 작품은 저출산 해법을 명분으로 한 통제 사회의 이면을 고발한다.
작품은 국회가 ‘국가 재건립부’를 신설하고, 여성에게 두 아이를 낳도록 강제하는 가상의 법안을 시행하면서 시작된다. 모든 과정은 ‘국가의 행복과 안녕’을 위해 설계되었지만, 그 안에서 인간은 더 이상 ‘주체적인 존재’가 아니다. 아기공장은 행복을 제조하고 통제하는 시스템으로, 인간을 수단화하는 현대 사회의 극단적 은유로 그려진다.
연출가 강민형은 “사회문제의 뿌리는 외부가 아니라 인간 자신에게 있다”고 말한다. 그는 이번 작품을 통해 인간의 내면이 비어버린 사회, 스스로를 멋지다고 느끼지 못하는 공동체의 위기를 표현한다. 저출산이라는 숫자 뒤에는 ‘자기 자신을 사랑하지 못하는 사회’가 있다는 것이 그의 메시지다.
무대는 극도로 절제되어 있다. 음향, 조명, 움직임 모두가 ‘통제’의 분위기를 만든다. 인간적인 온기가 점점 사라지는 과정은 차갑지만 섬세하게 표현된다. 배우 한지은과 허유미의 호흡은 작품의 핵심이다. 한지은이 표현하는 순응의 얼굴, 허유미가 보여주는 저항의 몸짓은 극의 긴장감을 최고조로 끌어올린다.
이 작품은 관객을 불편하게 만들지만, 바로 그 불편함이 ‘진실’에 가깝다. 행복을 강요받는 사회, 자유가 사라진 세상은 결국 우리 자신이 만든 결과임을 깨닫게 한다. 연극아기공장은 국가와 개인의 관계를 성찰하게 하는 거울이다.
공연은 100분간 이어지며, 전석 20,000원이다. 15일 공연 후에는 관객과의 대화가 마련되어 있다. 예매는 인터파크 NOL티켓에서 가능하다.
연극아기공장은 저출산이라는 단어가 아닌, ‘인간’이라는 주제를 다룬다. 행복은 국가가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선택에서 비롯된다는 단순하지만 강력한 메시지가 관객에게 남는다.
예매 링크: https://mobileticket.interpark.com/goods/25014511
문의: 010-7647-29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