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감 정근식)은 서울 학생들의 미래 역량을 기르기 위해 ‘서울 학생 문해력·수리력 진단검사(서울 에스플랜, S-PLAN)’를 10월 27일부터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검사는 서울 초·중·고등학교와 재외한국학교, 부산 지역 학교를 포함한 총 665교에서 약 10만 2천여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에스플랜(S-PLAN, Student diagnostic Program for Literacy And Numeracy)은 학생들의 학습 기반이 되는 문해력과 수리력을 진단하는 검사다. 문해력은 다양한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표현하는 능력, 수리력은 학습과 일상에서 수학적 사고를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검사 문항은 실제 생활과 교과 학습 상황에서의 문해력과 수리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교과 융합형 문항과 실생활 중심의 문제해결형 문항이 포함된다.
올해 진단검사에는 서울의 초등학교 4학년, 6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참여하며, 학교 밖 청소년 도움센터와 재외한국학교, 부산 지역 학교도 함께한다. 전체 참여 학교는 665교로 지난해 525교보다 약 26퍼센트 증가했다. 지금까지 총 24만여 명의 학생이 참여해 문해력과 수리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올해에는 중국, 태국, 이집트 소재 재외한국학교 학생들이 처음으로 참여해 해외 한국학생의 학업 역량 진단과 지원 방안을 함께 모색한다. 지난 9월 서울시교육청과 업무협약을 체결한 부산 지역 62개교, 1천690명의 학생도 참여해 문해력과 수리력 향상을 위한 수업 혁신과 평가 개선에 협력할 예정이다.
진단검사는 컴퓨터 기반 검사 방식으로 진행된다. 학교는 자체 학사일정에 맞춰 자율적으로 일정을 선택해 응시할 수 있으며, 1차는 10월 27일부터 11월 7일까지, 2차는 12월 15일부터 26일까지 실시된다. 검사는 문해력Ⅰ, 문해력Ⅱ, 수리력Ⅰ, 수리력Ⅱ의 네 과목으로 구성되며 초등학교는 과목당 40분, 중학교는 45분, 고등학교는 50분씩 총 네 차시로 진행된다.
검사는 서울시교육청이 개발한 ‘서울 학생 미래 역량 진단 시스템(cbt.sen.go.kr)’을 통해 실시된다. 이 시스템에는 다양한 진단 및 평가 도구가 탑재되어 있어 학생 개개인의 학습 수준을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
검사 결과는 12월에 제공될 예정이다. 학생과 학부모에게는 문해력과 수리력의 단계별 성취 수준, 하위 영역별 정답 비율과 학습 제언이, 학교에는 학생들의 수준별 분포와 수업 개선을 위한 지원 자료가 제공된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번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기초 학습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교육청은 기초소양교육 지원협의체 운영, 문해력·수리력 지도자료 개발 및 보급, 전문가 양성 연수 운영 등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기반 능력을 체계적으로 높여나갈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