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사회에서 뜨거운 논란을 낳아온 트랜스젠더 정책과 관련해 트럼프 행정부가 전방위적인 대응책을 내놓으며 오바마·바이든 정부 시절의 기조를 전면 뒤집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랜스젠더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발언과 함께 남성과 여성, 단 두 가지 성별만을 정부의 공식 지침으로 선언했다. 그는 트랜스젠더 개념을 “말대가리에 막대기를 꽂는다고 유니콘이 되지 않는 것과 같다”는 비유로 일축해 큰 파장을 일으켰다. 이와 동시에 행정부는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정책을 폐기하고, 군·스포츠·비자·공문서 분야에서 일괄적인 제도 개편에 착수했다.
군대 분야에서는 약 1만4천 명의 트랜스젠더 인력이 추방됐으며, 신규 입대도 전면 금지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행정 명령을 통해 바이든 전 대통령의 군 내 트랜스젠더 허용 방침을 폐지했으며, 반면 코로나 의무조치로 퇴출됐던 병력은 복직 조치했다. 보수 진영은 군 전투력과 기강 유지를 강조하며 이를 환영했다.
스포츠와 국제대회 관련 정책도 바뀌었다. 트랜스젠더 여성 선수의 여성 경기 출전을 금지하고, 2028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는 생물학적 성별 기준만 인정하기로 했다. 또한 트랜스젠더 선수의 미국 입국 비자는 거부됐으며, 출생 성별을 허위로 기재할 경우 입국이 불가능하도록 제재가 강화됐다.
공문서 체계에서도 변화가 있었다. 바이든 행정부 시절 여권 등에 기재 가능했던 ‘X’ 성별은 삭제되었고, 공직 사회에서도 트랜스젠더 고위 관리 기용 사례가 문제로 지적됐다.
한편, 미국 내 트랜스젠더 인구는 약 280만 명으로 추정되며, 이 가운데 25%는 13~17세 청소년이다. 최근 고등학생의 약 4분의 1이 스스로를 LGBTQ+ 정체성으로 규정하는 것으로 나타나 세대 간 인식 격차가 두드러지고 있다. 그러나 정신건강 문제, 스포츠 공정성 논란, 범죄 연루 사례 등이 이어지면서 사회적 갈등은 심화되고 있다.
민주당은 트랜스젠더 권리를 강력히 옹호하며 반대 세력을 ‘혐오자’로 규정해왔지만, 최근 뉴욕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이러한 입장이 오히려 유권자 이탈을 불러왔다고 분석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바마·바이든 행정부가 사회적 혼란을 조장했다고 비판하며, 민주당이 트랜스젠더 정책에 지나치게 올인한 대가를 정치적으로 치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정책 변화는 단순한 성 정체성 논쟁을 넘어, 미국 사회의 가치관 전쟁과 정치 지형의 향방을 가르는 핵심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