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틱톡 미국 운영권 이전 행정명령 발표

서비스 정지 위기 피하며 데이터 주권 강화

오라클·실버레이크 등 투자자 참여, 중국 승인 여부 관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틱톡(TikTok)의 미국 내 운영권을 미국 투자자 주도의 합작회사로 이관하는 행정명령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대법원 판결과 2024년 제정된 법률에 따라 틱톡이 매각하지 않을 경우 전면 금지될 수 있었던 상황을 피하고, 국가안보와 데이터 주권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사진; AI image. antnews>

행정명령에 따르면 바이트댄스(ByteDance)는 새 합작회사 지분을 20% 미만만 보유할 수 있으며, 이사회 임명권은 제한된다. 미국 측 이사진과 보안위원회가 핵심 의사결정권과 데이터 보호를 담당하게 된다. 미국 내 사용자 데이터는 오라클(Oracle) 관리 하에 미국 내 서버에 저장되며, 알고리즘과 콘텐츠 정책 역시 미국 측의 통제를 받게 된다.

 

투자 그룹에는 오라클 창립자 래리 엘리슨, 실버레이크(Silver Lake), 델 테크놀로지스 창립자 마이클 델, 미디어 재벌 루퍼트 머독 등이 참여할 전망이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아부다비 왕가의 투자사 MGX15% 지분 참여를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틱톡 미국 사업 가치는 약 140억 달러로 평가되며, 바이트댄스가 알고리즘 사용권이나 수익 배분을 통해 여전히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번 구조가 사실상 명목상 매각에 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조치로 약 17천만 명에 달하는 미국 사용자들의 개인정보 보호를 보장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거래 추진에 동의했다고 언급했지만, 중국 정부는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정치적으로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틱톡 계정을 통해 1,500만 명 이상의 팔로워를 확보하고 있다는 점을 직접 언급하며, 틱톡이 차기 대선에서도 중요한 소통 창구가 될 것임을 시사했다.

 

이번 행정명령은 틱톡의 서비스 중단 위기를 피하는 동시에, 미국 주도의 운영체계로 전환하는 상징적 정책으로 평가된다. 다만 중국 정부의 공식 승인, 법적 검토, 120일 유예 기간 내 구조 확정 등 과제가 남아 있어 향후 협상 과정이 주목된다.



작성 2025.10.24 08:42 수정 2025.10.24 08:42

RSS피드 기사제공처 : 개미신문 / 등록기자: 김태봉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