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크 암살 사건, 영화 ‘스네이크 아이즈’의 데자뷔

허구가 현실이 된 비극적 모방…예언인가, 모방범죄인가

엔트뉴스는 이번 사건을 ‘영화적 모방범죄’의 가능성으로 본다


찰리 커크 암살과 1998년 니콜라스 케이지 영화 "스네이크 아이즈"의 줄거리 사이의 10가지 놀라운 유사점

미국 보수운동의 상징적 인물 찰리 커크가 공개 연설 중 총격으로 사망한 사건은 여전히 미스터리의 안개 속에 있다. 그러나 최근 온라인을 중심으로 확산 중인 흥미로운 논의는 그 사건이 1998년 니콜라스 케이지 주연의 영화 **<스네이크 아이즈(Snake Eyes)>**와 놀라운 유사점을 보인다는 것이다.

 

일부는 이 일련의 일치를 단순한 우연이라 치부하지만, 또 다른 이들은 이 사건을 의도된 시뮬라크르(simulacrum)’로 보고 있다 , 영화가 현실을 예언하거나 모방한 것이 아니라, 현실이 영화를 따라간다는 해석이다.

 

#1 영화에서 "찰스 커클랜드"라는 캐릭터가 라이브 이벤트에서 암살당합니다. 찰리 커크도 라이브 이벤트에서 암살당했습니다.

#2 영화에서 "찰스 커클랜드"는 목에 총을 맞고 사망합니다. 찰리 커크도 목에 총을 맞아 사망했다.

#3 영화에서 "찰스 커클랜드"는 목 왼쪽에 총을 맞았습니다. 찰리 커크도 왼쪽 목에 총을 맞았다.

#4 영화에서 "찰스 커클랜드"의 암살은 9월 한 달 동안 일어납니다. 영화에서 '찰스 커클랜드'910일에 암살당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실제로는 정확한 날짜가919인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찰리 커크가 9월에 암살된 것처럼 영화에서 "찰스 커클랜드"9월에 암살된 것은 사실입니다.

#5 이 영화에는 "링컨 타일러"라는 캐릭터가 등장합니다. 찰리 커크를 총격한 혐의로 체포된 남자의 이름은 "타일러 로빈슨"입니다.

#6 "링컨 타일러"는 영화 속 권투 선수이며 그의 별명은 "사형집행자 타일러"입니다. 말할 필요도 없이 "타일러 로빈슨"은 찰리 커크의 사형집행인으로 기소되고 있습니다.

#7 애틀랜틱시티에 있는 도널드 트럼프의 타지마할 카지노에서 영화를 촬영한 지 2주가 있었는데, 영화에는 트럼프에게서 직접적인 영감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 "길버트 파월"이라는 캐릭터가 있습니다. 찰리 커크는 도널드 트럼프의 가장 큰 지지자 중 한 명이었고, 투표를 이끌어내는 데 있어 그의 조직의 효율성은 트럼프가 지난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주된 이유 중 하나였습니다.

#8 영화 제목은 스네이크 아이즈(Snake Eyes)”입니다. 흥미롭게도 찰리 커크는 뱀의 해에 암살당했습니다

신화 속의 용에게 작별을 고하고, 세계는 129음력 설날 첫날에 뱀의 해를 맞이합니다. 이 오래된 명절을 기념하는 사람들에게는 한 해를 긍정적으로 시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길운을 불러오는 음식들을 먹고 행운을 높이는 활동에 참여하는 것 외에도, 많은 사람들은 앞으로 몇 달 동안 어떤 일이 일어날지 별자리에서 힌트를 얻으려 합니다

#9 "이세벨"은 영화에 나오는 허리케인의 이름입니다. 한 인터넷 탐정은 이세벨이 찰리 커크가 암살되기 직전에 마녀를 고용하여 저주를 걸었던 페미니스트 출판물의 이름이기도 하다고 정확하게 지적했습니다.

#10 영화 포스터에서 니콜라스 케이지는 매우 독특한 손짓을 보여줍니다. 찰리 커크와 도널드 트럼프는 똑같은 손짓을 하는 모습이 자주 목격되었다.

 

또한 찰리 커크는 손바닥이 바깥쪽을 향하고 손가락 끝이 아래쪽을 향한 삼각형으로 닿는 놀랍도록 유사한 손 위치를 채택한 여러 사진에서 목격되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조차도 선거 운동 출연, 언론 브리핑, 인터뷰 중에 앉아서 똑같은 자세를 취하는 모습이 목격되었다.

무엇보다도, 영화 포스터의 메인 타이틀 바로 아래에 매우 신비한 슬로건이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그 슬로건은 우리에게 "눈을 제외한 모든 것을 믿으라"고 지시하고있다.

 

-마이클 스나이더 컬럼 요약

 

한편 마이클 스나이더의 컬럼에 대해 엔트뉴스는 또 다른 방향으로 분석하고있다.

이 사건은 예언적 영화의 실현이 아니라, 영화가 모방범죄의 트리거로 작용한 비극적 사례일 가능성이 높다. 인간의 심리는 허구의 서사를 통해 허락된 폭력을 학습하고, 그 서사를 실제의 질서로 착각하게 된다. 이는 이미 20세기 초 이래로 반복되어온 현상이다. 일본의 사이코패스 살인사건’, 중국의 검은 복면 모방범죄’, 미국의 조커 사건등은 모두 예술이 폭력의 스크립트로 오용된 사례였다.

 

<스네이크 아이즈>는 본래 부패, 조작, 음모를 다룬 영화였으나, 누군가 그 이미지를 정치적 상징으로 해석하고 실행했다면, 그건 예언이 아니라 현대 매체 중독 사회가 낳은 현실의 왜곡된 반영이다.

 

결국 문제는 영화가 아니라 그 영화를 현실화한 인간의 정신 구조에 있다. 진실을 쫓는다는 명분 아래 사람들은 패턴을 찾고, ‘의미를 만들어내며, 결국 현실을 상징으로 조작한다. 이 사건이 진정으로 우리에게 던지는 경고는 단 하나다 눈을 믿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현실을 허구로 착각하지 말라는 것이다.

 

엔트뉴스는 이번 찰리 커크 암살 사건을 우연의 일치가 아닌 영화 모방형 범죄의 전형적 징후로 추측해본다. 그리고 이 사건은 단지 한 정치인의 죽음이 아니라, 현대인이 얼마나 쉽게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잃어버렸는가를 보여주는 상징적 비극이라고 바라보고있다.



작성 2025.10.23 10:04 수정 2025.10.23 10:04

RSS피드 기사제공처 : 개미신문 / 등록기자: 김태봉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