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은 선택이다 - 인간의 고통과 의미를 잇는 프랭클의 철학적 유산

실존의 불안에서 희망으로: 키에르케고르가 던진 인간의 질문

고통을 통한 의미 탐구: 프랭클이 계승한 실존철학의 흐름

로고테라피, 삶의 이유를 다시 묻다: ‘왜 살아야 하는가’의 심리학적 해답

 

아우슈비츠 수용소를 배경으로, 인간의 내면에서 피어나는 작은 불빛(의지와 의미를 상징)

 

희망은 선택이다 - 인간의 고통과 의미를 잇는 프랭클의 철학적 유산

 

 

21세기를 살아가는 인간은 물질적으로 풍요로워졌지만정신적으로는 오히려 더 공허하다. ‘왜 살아야 하는가라는 물음이 다시금 사회 곳곳에서 울린다.

이 물음은 단순한 개인의 고민을 넘어실존의 위기 그 자체다.

19세기 철학자 키에르케고르는 이미 절망은 인간의 본질적 조건이라 말하며인간이 신앙과 자기실현 사이에서 겪는 불안을 실존의 출발점으로 보았다.

그리고 20세기나치 강제수용소에서 살아남은 정신의학자 빅터 프랭클(Viktor Frankl) 은 이 철학적 유산을 로고테라피(Logotherapy)’라는 심리학적 치료로 확장했다.

프랭클에게 있어 고통은 피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삶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 통로였다.

오늘날그들의 사상은 다시 우리에게 묻는다. “절망의 시대에도우리는 여전히 희망을 선택할 수 있는가?

 

 

키에르케고르는 인간이 스스로의 존재를 자각할 때 느끼는 불안을 실존의 진통이라 불렀다.

그에게 절망은 단순히 고통스러운 감정이 아니라인간이 자신을 새롭게 발견할 수 있는 통로였다.

절망은 나 자신이 되고자 하지 않는 상태이며그 절망을 자각할 때 인간은 신과 마주한다.”

이 말은 인간이 의미를 상실한 시대에도 희망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내면에 지니고 있음을 암시한다.

키에르케고르가 제시한 이 철학적 통찰은 훗날 프랭클의 사유에 깊은 뿌리를 내리게 된다.

 

 

빅터 프랭클은 제2차 세계대전 중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가족과 자유를 모두 잃었다.

그러나 그는 그 절망의 한가운데서 인간이 마지막까지 지켜야 할 단 한 가지를 발견했다.

모든 것은 빼앗길 수 있어도인간이 자신의 태도를 선택하는 자유만은 빼앗을 수 없다.”

그의 로고테라피는 바로 이 통찰에서 탄생했다.

인간은 환경의 피해자가 아니라의미를 창조하는 존재이며고통조차도 삶의 이유를 다시 발견하는 기회로 전환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는 키에르케고르의 신앙의 도약과 맞닿는다인간이 절망을 이겨내는 유일한 방법은그 속에서도 의미를 발견하려는 결단에 있기 때문이다.

 

 

로고테라피(Logotherapy)는 의미 치료라는 뜻을 가진다.

프랭클은 정신분석이 과거의 원인을 탐구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면로고테라피는 미래의 목적과 의미를 향하도록 인간을 이끈다고 보았다.

그는 환자들에게 당신이 살아야 할 이유를 찾는다면어떤 어떻게도 견딜 수 있다고 말하곤 했다.

이는 니체의 말 — 삶의 이유를 아는 사람은 어떤 고통도 견딜 수 있다 — 과 철학적으로 맞닿아 있다.

프랭클의 이론은 단순한 치료법을 넘어인간의 존재론적 선언이다.

삶의 의미는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찾아야 하는 것그리고 그 과정은 고통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다는 사실을 일깨운다.

 

 

프랭클은 절망의 끝에서도 인간의 존엄을 지켰다.

수용소에서 하루하루 죽음과 마주하며 그는 스스로에게 물었다.

나는 내 태도를 선택할 수 있는가?”

그의 대답은 단호했다. “그렇다.”

희망은 외부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스스로 선택하는 내면의 결단이다.

이것이 바로 키에르케고르가 말한 신앙의 도약이자프랭클이 말한 정신의 자유의 본질이다.

오늘날의 불확실한 시대 속에서도인간이 자기 존재의 이유를 묻는 한 로고테라피의 철학은 여전히 살아 있다.

 

 

키에르케고르가 절망 속에서 인간의 가능성을 보았다면프랭클은 그 가능성을 실제로 살아낸 사람이다.

그들의 사상은 서로를 비추며 고통은 의미로절망은 희망으로 변할 수 있다는 인간의 위대한 능력을 증언한다.

로고테라피는 단지 심리치료가 아니다.

그것은 인간이 존엄하게 존재한다는 사실을 스스로 증명하는 실존의 철학이다.

오늘도 우리는 선택의 갈림길에 서 있다.

희망은 감정이 아니라태도의 문제다.

절망의 밑바닥에서조차 살 이유를 찾아 나서는 순간인간은 이미 자유로운 존재가 된다.

 

 

삶을 바꾸는 동화 신문 기자 kjh0788@naver.com
작성 2025.10.23 09:38 수정 2025.10.29 10:04

RSS피드 기사제공처 : 삶을 바꾸는 동화 신문 / 등록기자: 삶을 바꾸는 동화 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