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판사와 인공지능 변호사: 법의 판단은 인간의 몫인가

판결은 데이터의 함수인가, 양심의 결정인가

인공지능이 법정에 서기까지

AI와 인간 판사의 공존 가능성

 

 

 “판결은 데이터의 함수인가, 양심의 결정인가”

 

2024년 서울중앙지법의 가상 법정. 피고인의 변호는 인간이 아닌 인공지능 변호사 ‘LEX-9’이 맡았다. 판결문 초안은 로봇 판사 시스템 ‘JUDGE-AI’가 작성했다. 인간 판사는 단 20분간 검토 후 ‘최종 승인’ 버튼을 눌렀다. 법정은 조용했다. 그러나 누군가의 인생이 바뀌는 그 결정의 순간, 진짜 ‘판단’은 누구의 몫이었을까?

 

법은 인간의 이성과 도덕을 바탕으로 한다는 믿음이 오랜 전통이었다. 하지만 최근, 법조계에서도 인공지능이 본격적으로 ‘사람의 역할’을 대체하기 시작했다. 이미 영국, 중국, 미국에서는 ‘AI 판사’가 교통법규 위반, 세금 문제, 행정 소송의 초안 판결을 내리는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다. 기술의 정확도는 인간보다 높지만, ‘정의’의 온도는 낮다.

 

AI가 법을 ‘적용’하는 일은 쉬울지 몰라도, 법을 ‘해석’하고 ‘판단’하는 일은 완전히 다르다. 법의 본질은 데이터가 아니라 ‘양심’과 ‘맥락’ 위에 서 있기 때문이다.

 

 

 

인공지능이 법정에 서기까지

 

AI가 법률 영역에 침투한 건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의 필요였다. 방대한 판례 데이터, 인간의 주관적 오류, 그리고 재판 지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미국의 ‘ROSS Intelligence’는 2016년 IBM 왓슨 기술을 활용해 세계 최초의 ‘AI 변호사’를 선보였다. 한국에서도 ‘Law-AI’, ‘빅케이스’ 같은 법률 분석 인공지능이 판례 검색, 문서 작성, 계약서 검토에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2023년 기준, 로펌의 78%가 AI 기반 법률 도구를 업무에 적용했다.

 

AI의 장점은 명확하다. 수백만 건의 판례를 초 단위로 검색하고, 객관적 데이터를 근거로 결론을 제시한다. 하지만 단점 또한 치명적이다. 데이터의 편향성, 알고리즘의 불투명성, 그리고 인간의 감정적 요소가 빠진 판단이다.

 

법은 ‘정답’을 찾는 학문이 아니라 ‘정의’를 실현하는 과정이다. 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한 사람의 삶을 데이터로 단순화할 수는 없다.

 

 

AI와 인간 판사의 공존 가능성

 

법학자들은 AI의 법적 판단에 대해 세 가지 시각을 제시한다.

 

첫째, 기계 합리주의자들은 AI의 판단이 인간보다 정확하고 공정하다고 주장한다. 감정, 편견, 피로 같은 인간적 요소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실제 연구에서도 동일한 사건에 대해 AI의 판결 일관성이 판사보다 12%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간 중심주의자들은 법의 본질이 윤리적 판단임을 강조한다. “정의는 알고리즘이 아니라 양심에서 비롯된다”는 철학자 존 라울스의 말을 인용하며, 기술이 법의 본질을 대체할 수 없다고 본다.

 

셋째, 혼합주의자들은 AI와 인간이 상호보완적으로 작동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AI는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인간은 그 결과를 해석해 ‘의미’를 부여한다. 마치 내비게이션이 길을 안내하되, 운전은 인간이 하는 것처럼 말이다.

 

AI의 정확성은 높지만 ‘맥락’을 모른다. 반면 인간은 느리지만 ‘이유’를 안다. 법의 정의는 바로 이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힘에서 출발한다.

 

 

법의 본질은 데이터가 아니라 인간이다

 

AI의 판단이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두 가지 전제가 필요하다. 첫째, 알고리즘의 투명성. 판결 과정이 ‘왜’ 그렇게 도출되었는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인간의 책임성. 최종 결정권이 반드시 인간에게 있어야 한다.

 

이미 EU는 ‘AI 윤리헌장’을 통해 “AI의 결정에 대한 법적 책임은 반드시 인간에게 있다”고 규정했다. 한국 역시 ‘AI 기본법’ 제정을 통해 법적 책임의 주체를 명확히 하려 하고 있다.

 

AI가 아무리 정확해도, ‘잘못된 데이터’를 학습했다면 정의를 왜곡할 수 있다. 예컨대 과거 판례에 존재하는 성차별적, 인종적 편향이 그대로 학습된다면, AI는 과거의 불의(不義)를 현재로 복제하게 된다.

 

법의 핵심은 ‘판결의 이유’를 밝히는 것이다. AI는 결론을 제시할 수 있지만,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를 말하지 못한다. 법은 단순한 연산이 아니라, 인간 사회의 윤리적 약속이기 때문이다.

 

 

인간이 빠진 정의는 정의가 아니다

 

AI가 법의 영역으로 들어온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질문은 기술의 가능성이 아니라 ‘한계의 선’이다. 법은 인간의 존엄을 지키기 위해 존재한다. 만약 판단의 주체가 인간이 아닌 알고리즘이라면, 그 법은 과연 누구를 위한 법인가?

 

AI는 법률가를 대체하지 않는다. 오히려 인간 법률가가 더 ‘인간답게’ 사고하도록 자극한다. 기술이 정의를 계산할 수는 있지만, ‘정의의 의미’를 부여할 수는 없다.

 

21세기 법정의 핵심은 인간과 인공지능의 협력이다. 판사는 데이터를 해석하고, AI는 오류를 줄인다. 하지만 ‘최종 판단’은 반드시 인간이 내려야 한다. 왜냐하면 법은 인간의 언어로 쓰여 있고, 그 문장의 끝에는 항상 ‘양심’이 있기 때문이다.

 

 

작성 2025.10.22 06:08 수정 2025.10.22 06:08

RSS피드 기사제공처 : 올리브뉴스(Allrevenews) / 등록기자: 신종기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