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2회 관광의 날을 앞두고 정부는 25일 한국관광공사 하이커그라운드에서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제10차 국가관광전략회의’를 열고 “입국 3천만을 넘어 글로벌 관광대국으로, 관광혁신 3대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회의는 관광기본법에 따라 국무총리를 의장으로 13개 부처 장관이 참여하는 국가 차원의 협의체로, 중앙 부처 장차관과 관광업계 관계자, 민간 기업인 등 7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관광 산업이 경제 성장의 동력이며 지방 소멸의 해법이 될 수 있다는 점에 공감하고, 구체적인 정책 방안을 논의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올해는 특히 아시아태평양경제협의체(APEC) 정상회의가 경주에서 열리는 만큼 한국의 문화와 콘텐츠를 세계에 널리 알릴 기회”라며 “이재명 정부는 K콘텐츠 문화관광산업을 핵심 전략산업으로 육성해 실질적 성과로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제시한 관광혁신 3대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한 관광 혁신이다. 수도권 외 지역을 글로벌 관광 거점으로 육성하고, 의료·웰니스·마이스(MICE) 관광을 집중 지원한다. 케이-컬처 연계 관광 생태계 구축, 대형 아레나 공연장 신설, 지역 한류 체험 공간 조성, 케이-푸드 로드 활성화 등도 포함됐다. 외국인 전자여행허가제(K-ETA) 한시 면제 연장, 외래객 전용 관광패스 개발, 간편결제 시스템 확산 등 수용태세 개선책도 추진된다.
둘째, 국내관광 혁신이다.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여행 시 경비의 절반을 환급하는 반값여행, 연박·섬 숙박할인권 신설, 무장애 관광 확대, 워케이션 모델 발굴 등을 통해 국민의 지역 관광 수요를 늘린다. 또한 관광의 미슐랭 가이드 격인 ‘핫스팟 가이드’를 제작해 지역 명소의 자발적 홍보와 확산을 유도한다.
셋째, 정책과 산업 기반 혁신이다. 70~80년대에 제정된 관광법 체계를 전면 개편하고, 관광특구 제도와 문화관광축제 지원체계를 재정비한다. 관광개발 예산 지원을 포괄보조금으로 전환하고, 민간 자본을 활용한 민관협력형 관광 개발 사업을 확대한다. 관광 데이터는 통합 개방해 맞춤형 관광 서비스를 촉진하고, 인공지능·로보틱스 등 최신 기술을 관광 산업에 접목한다. 또한 내국인 공유숙박 제도화, 숙박 부가세 환급 연장, 관광인력 양성 및 외국인 유학생 고용 확대도 추진된다.
정부는 이번 전략을 통해 관광업계와 국민, 외국인 관광객이 느끼는 숙박·교통·결제 등 불편을 해소하고, 한국 관광의 질적 성장을 이끌어 글로벌 관광대국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