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유산청이 ‘물때지식’을 국가무형유산 신규 종목으로 지정 예고했다. 물때지식은 밀물과 썰물의 주기적 변화를 관찰해 형성된 전통 지식체계로, 조수간만의 차이를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한 어촌 사회의 핵심 생활지식으로 전승돼 왔다. 태양과 달의 인력에 따라 달라지는 조류의 변화를 역법화한 이 지식은 어업 활동을 비롯해 염전 운영, 간척 작업, 노두 이용, 뱃고사 등 해안 지역의 일상과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
역사적으로도 물때에 대한 인식과 활용은 오래된 전통을 지닌다. 『고려사』에는 하루 단위 밀물·썰물 기록이 등장하며, 『태종실록』에는 보름 주기의 물때 명칭이 확인된다. 조선 후기에는 지역별 조석 현상을 기록하거나 비교하는 시도가 이어졌는데, 강경포구 바위에 조석 변화를 새겨 남긴 사례와 신경준이 제작한 「조석일삭진퇴성쇠지도」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연구는 한강 하류의 조강부터 제주, 중국 절강과 오월 지역까지 조석 시간을 비교하며 지역별 특성을 분석한 자료로 평가된다.
물때지식은 조수간만 차가 큰 서해안과 남해안에서 생업과 생존에 필수적인 정보였을 뿐 아니라, 오늘날에도 물때달력과 스마트폰 앱을 통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물때를 세는 방식에서도 지역적 다양성이 뚜렷하다. 한물·두물처럼 숫자와 ‘물(마·매·무새)’을 조합한 표현이 존재하는가 하면, 게끼·조금·무수(부날) 등 지역별로 서로 다른 명칭이 전해진다.
국가유산청은 물때지식이 조선시대 이전부터 기록돼 이어져 온 전통 지식이며, 해양문화·민속학·언어학 등 다양한 분야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치가 높고, 오늘날까지도 널리 공유되는 생활지식이라는 점을 국가무형유산 지정 사유로 제시했다. 공동체 전체가 향유하는 전통지식이라는 특성을 고려해 특정 보유자나 보유단체 없이 ‘공동체 종목’으로 지정 예고한 상태다.
향후 30일간의 예고 기간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하고, 국민신문고 ‘국민생각함’에서 종목 명칭에 대한 설문조사도 병행된다. 이후 무형유산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지정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