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타임즈 김미경기자]
서울시는 겨울철 한파로 인한 수도계량기 동파 예방을 위해 11월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 ‘수도계량기 동파대책’을 본격 시행한다. 지난 겨울, 동파 발생을 전년 대비 33% 줄인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는 ‘보온 강화’와 ‘시민 참여’ 두 축으로 이중 예방체계를 구축해 동파 피해 최소화에 나선다.
시는 지난 겨울 발생한 수도계량기 동파 2,046건 중 97%가 보온 미비나 장기 부재 가구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올해 △동파 취약지역 8,300곳의 계량기함 보온덮개 두께를 8mm로 두껍게 보강하고, △동파에 강한 디지털계량기 1만개를 확보하는 등 맞춤형 보온 대책을 강화할 계획이다.
○ 올해부터 보온성능이 우수하나 분리배출이 불가한 발포형(PE) 보온덮개를 대체하기 위해 분리배출이 가능하며 가격 경쟁력이 높은 에어캡형(8mm) 보온덮개 8,300개를 시험 설치하여 보온성능을 검증할 예정이다.
○ 디지털계량기는 계량기 지시부에 물이 차지 않아 일반 계량기에 비해 동파발생률이 낮은 계량기로 동파가 발생하였거나 취약지역에 설치할 계획이다.
특히 복도식 공동주택 등 수도계량기 동파 취약지역에는 수도계량기함 보온재와 보온덮개 30만 장을 배부해 보온 효과를 높일 계획이다. 또한 기계식보다 동파에 약 4배 강한 디지털 계량기 1만 개를 추가 확보하여 동파에 대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수도계량기 동파 시 신속한 복구를 위해 ‘수도계량기 동파대책 상황실’을 운영한다. 기온에 따라 동파 예보단계를 4단계로 구분해 대응 체계를 가동하며, -10℃ 미만으로 하강 시에는 상황실을 24시간 비상체제로 전환해 동파 피해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 예보단계와 동파 발생 규모에 따라 복구 인력을 단계별로 확대해 신속한 복구체계를 운영할 예정으로 최대 480명을 투입하여 일 2,500개까지 복구가 가능하다.
아울러 시는 ‘채우기·틀기·녹이기’ 등 생활 속 3대 예방수칙 실천으로도 수도계량기 동파를 예방할 수 있다며, 11월부터 요금 고지서에 동파예방 행동요령이 담긴 안내문을 동봉하고, 공동주택·공사현장 등 동파 취약지역에는 예방 포스터를 부착해 시민들이 예방 수칙을 실천할 수 있도록 안내할 계획이다.
○ 한파가 이틀 이상 지속될 때에는 수도꼭지를 2분간 ‘종이컵 한 잔’ 정도 흘려보내고, 계량기함을 보온재로 채우거나 언 계량기는 50℃ 이하의 열로 천천히 녹이는 등의 간단한 실천으로도 동파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한편, 수도계량기의 지시부가 깨지거나 부풀어 오르는 등 동파가 의심되는 경우, 내부 동결로 인해 계량기 파손이나 누수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증상을 발견하면 ‘120다산콜재단’ 또는 관할 수도사업소, ‘아리수 사이버고객센터’에 신고하면 된다.
○ 아리수 사이버고객센터 홈페이지를 이용할 경우 ‘온라인 민원신청’ → ‘수도계량기 교체신청’을 통해 동파 신고가 가능하다.
이회승 서울아리수본부장은 “지난해 동파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사전 예방 활동을 펼치고, 시민들을 대상으로 동파예방 수칙을 적극 홍보한 결과 동파 건수가 전년 대비 33% 감소했다”라며 “올해는 한파 예보 단계별 안내와 상황실 운영, 취약지역 집중 관리, 생활 속 예방수칙 홍보를 강화해 수도계량기 동파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