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교육청은 여순사건특별법의 제정 취지를 바탕으로 지역 현대사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인권과 평화의 가치를 배우는 교육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여순사건특별법은 국가 폭력으로 희생된 이들의 진상을 규명하고 명예를 회복하며, 사회적 화해와 민주주의 원칙을 되새기기 위해 마련됐다. 전남교육청은 여순10·19사건을 비롯한 지역 역사 교육을 특정 이념이나 관점에 치우치지 않고 사실을 중심으로 지도하고 있다.
그동안 전남교육청은 항일운동과 민주화운동, 독립운동사, 전남 지역의 주요 인물과 사건 등을 다룬 교육 자료를 개발하여 학교 현장에 보급해 왔다. 이러한 자료는 교사가 지역 역사를 정확하게 전달하고 학생이 균형 잡힌 역사 인식을 형성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전남교육청은 2026년을 목표로 지역 현대사 교육을 체계화하고, 인권과 평화를 주제로 한 수업과 체험 활동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과 협력해 12월에는 ‘제주4·3과 함께하는 여순10·19 평화·인권 역사유적 탐방’을 공동 추진한다. 이 과정은 학생과 교원이 역사 현장을 직접 확인하며 학습 내용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다.
또한 전남교육청은 지역사 기반의 평화·인권 교육을 아시아 지역 청소년과 공유하기 위해 ‘아시아 의 청소년 헌법센터’ 설립을 진행 중이다. 이 센터는 민주주의, 인권, 법치, 평화의 가치를 공유하는 교육 교류의 거점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전남교육청은 헌법센터를 통해 지역에서 구축해 온 인권·평화 교육의 철학을 확장하고 국제 연대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