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굿모닝타임스) 강민석 기자 = 대전시는 이르면 내년 3월부터 신교통수단, 굴절 저상버스 3대를 도안동로 일원에서 시범 운행할 예정이라고 23일 밝혔다.
김종명 대전시 철도건설국장은 이날 오전 시청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갖고 “대전시는 국내 최초로 도입되는 3칸 굴절버스의 안정적인 도입과 내년 상반기 운행을 위해 신교통수단 시범사업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며 “이번 사업은 노인 등 교통약자를 포함한 모든 시민의 교통 편의와 안전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도시교통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시는 ‘신교통수단 시범사업’을 통해 중앙버스전용차로가 구축된 도안동로 일원에 대규모 수송력(230여명)을 갖춘 3칸 굴절차량을 도입할 계획으로, 현재 해당 차량에 대한 관련법과 제도가 없어 규제 실증 특례를 적용받아 추진하고 있다.
시는 그동안 사업 추진을 위한 교통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수렴을 위해 지난해 9월 신교통수단 도입방안 마련을 위한 국제세미나를 국회에서 개최했으며, 같은해 11월 철도학회와 올해 5월 한국자동차모빌리티안전학회에 참여해 제도개선과 사업 추진 방안에 대해 학계 및 전문가들과 심도 있게 논의했다.
또한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한국교통안전공단 등 담당부처·전문기관과 논의 후 신교통수단 도입·운영과 관련된 규제확인을 위해 지난해 8월 규제 신속확인을 신청해 관련 규제에 대한 조치계획을 수립했고, 규제 실증특례 신청(2024. 11월), 12월 관계부처 협의, 실무위원회(2024. 12월) 심의를 거쳐 올해 1월 국토부 모빌리티 혁신위원회의 최종심의 승인을 받아 사업추진 근거를 마련했다.
또한 시는 본격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올해 4월 기반시설 건설을 위한 실시설계 용역 착수와 함께 조달청에 차량구매 계약을 의뢰해 7월에 차량이 선정됐고, 올해 12월까지 자동차 인증절차를 거쳐 차량 3대를 인수할 계획이다.
차량 총 매입비용은 약 94억 원으로, 차량 한 대당 약 31억 원이 투입된다. 차량 길이는 약 31m이며, 차량 운영은 대전교통공사가 맡는다. 이를 위해 현재 공사 직원들이 중국 현지에서 차량 운행과 정비 관련 교육을 받고 있다.
한편, 계획 노선(정림삼거리~가수원네거리~도안동로~유성네거리~충남대) 중 도시철도 2호선 트램 혼용노선(충남대~유성네거리, 가수원네거리~정림삼거리)은 트램 사업과의 공기 불일치와 이에 따른 3칸 굴절차량 전용차로의 추가로 차로 감소와 교통혼잡 발생이 우려됨에 따라 일부 조정할 계획이다.
조정 노선은 건양대학교병원~용소삼거리~도안동로~유성네거리 구간으로 대학교, 병원, 공동주택들이 밀집해 있어 더 많은 시민들이 신교통수단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