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서중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가 오늘 (13 일 ) 「 2025 년 쌀 수확기 수급안정대책 」 을 발표했다 . 이번 대책에는 폭염 등 이상기온으로 대규모 피해를 입은 ‘ 깨씨무늬병 벼 ’ 전량 매입 방안이 포함됐다 .
이는 문금주 의원 ( 전남 고흥 · 보성 · 장흥 · 강진 ) 이 농림축산식품부에 지속적으로 요청해온 내용이 반영된 결과다 .
최근 쪽파 병해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 벼 · 쪽파 병해에 대한 농업재해 인정과 쪽파 농업재해보험 가입기간 확대 등 추가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
올해 여름 전국적으로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졌으며 , 특히 전남은 전국 평균보다 4.2 일 (15.2%) 더 긴 폭염일수 (31.8 일 ) 를 기록했다 .
벼 생육기 (7~9 월 ) 동안 전남의 최고기온은 평년 대비 최대 3.5 ℃ 높게 나타나 , 전 구간에서 30 ℃ 를 초과했다 . 이는 벼의 생육과 등숙 ( 알이 여무는 과정 ) 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수준이다 .
깨씨무늬병은 30 ℃ 이상의 고온과 습도 85% 이상의 다습 환경에서 급속히 확산된다 . 감염 시 수확량이 최대 37% 감소하고 , 벼알이 갈변해 품질 저하가 발생한다 .
문금주 의원실 ( 전남 고흥 · 보성 · 장흥 · 강진 ) 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 올해 10 월 1 일 기준 전남지역 깨씨무늬병 발병면적은 13,337ha 로 전국 총 발병면적 (36,320ha) 의 3 분의 1 이상을 차지했다 . 이는 전년 대비 3.7 배 , 평년 대비 2.1 배 증가한 수치다 .
기후변화로 인한 쪽파 농가 피해도 심상치 않다 . 전남 보성 지역의 150 개 농가 ( 재배면적 120ha) 에서는 노균병 , 잿빛곰팡이병 , 잎끝마름병 등 병해가 확산되고 있다 .
올해 9 월 보성의 강우일수는 18 일로 전년 (8 일 ) 보다 2 배 많았고 , 평균기온은 23 ℃ 로 쪽파 생육 적정온도 (20 ℃ 이하 ) 를 초과했다 . 충남 아산 , 경북 예천 등 전국 주요 재배지에서도 유사한 피해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
문금주 의원은 “ 깨씨무늬병 피해 벼 전량 매입 방안이 포함된 것은 환영하지만 ,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농가가 떠안게 해서는 안 된다 ” 고 지적했다 .
이어 “ 벼 깨씨무늬병과 쪽파 병해를 농업재해로 공식 인정하고 , 쪽파의 연중 상시 재해보험 가입이 가능하도록 제도 개선을 추진해야 한다 ” 고 강조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