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청은 생태적 건강성과 사회·문화적 기능이 우수한 도시숲을 발굴하기 위한 ‘올해의 녹색도시’ 공모에서 14곳을 우수사례로 선정했다. 이번 공모에는 8월부터 9월까지 전국에서 43건이 접수됐으며, 서류심사와 전문가 현장평가를 거쳐 최종 결과가 확정됐다.
기후대응도시숲 분야에서는 구미국가산업단지 미세먼지 차단숲, 익산 유천생태습지 기후대응 도시숲, 인천 미추홀구 인천대로 완충녹지가 선정됐다. 이들 사례는 산업단지와 주거지 사이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강화하거나, 지역 생태공간과 연계한 기후 대응 효과가 높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도시숲 분야에서는 김해 진영 폐선철로 도시숲, 원주 치악산 바람길숲, 부산 남구 황령산 생태숲이 선정됐다. 특히 폐선부지를 활용한 김해 사례는 다채로운 녹지 공간 조성과 함께 도시 바람길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는 점이 주목받았다.
가로수 분야에서는 포항 이화숲 가로수길, 평택 NO.1 가로숲터널, 제주시 청사로 가로수가 이름을 올렸다. 포항의 경우 철길숲과 공원을 잇는 녹지축을 확보해 도시 생태 네트워크 형성에 기여한 것이 선정 배경으로 꼽힌다.

학교숲 조성 분야의 우수사례에는 대구 경북여자고등학교, 서귀포 안덕초등학교, 상주여자중학교가 포함됐다. 경북여고는 교내 중정을 중심으로 다양한 수종을 조성해 탄소 흡수와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
학교숲 활용·사후관리 분야에서는 제주시 귀덕초등학교와 부천 시온고등학교가 선정됐다. 귀덕초등학교는 유휴공간을 발굴해 숲을 조성한 뒤 체계적인 협약과 관리 시스템을 구축한 점이 인정됐다.
산림청은 2007년부터 녹색도시 우수사례를 선정해 도시숲과 가로수의 생태·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자체 간 경쟁을 유도해왔다. 선정 사업은 폭염·폭우·미세먼지 저감 등 기후재난 대응 능력을 높이는 도시숲의 품질 개선을 목표로 지속 추진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