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 건강 정보] 고혈압 환자가 반드시 피해야 할 '독이 되는 생활 습관 및 식단' 5가지

알아두면 득이 되는 의학 정보

순환기내과 전문의 경고: "혈압약보다 무서운 '침묵의 독소', 식습관과 수면 패턴이 혈압 조절 성패를 좌우한다" 

생활 습관 1순위 금기: '수면 무호흡증' 방치 및 '과도한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 조절 실패 

메디컬라이프AI디자인팀

[실용 건강 정보] 고혈압 환자가 반드시 피해야 할 '독이 되는 생활 습관 및 식단' 5가지

 

순환기내과 전문의 경고: "혈압약보다 무서운 '침묵의 독소', 식습관과 수면 패턴이 혈압 조절 성패를 좌우한다" 

 

생활 습관 1순위 금기: '수면 무호흡증' 방치 및 '과도한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 조절 실패 

 

식단 1순위 금기: '나트륨'과 더불어 '숨겨진 설탕(액상과당)' 폭탄 회피가 혈압약 효과 극대화한다 

 

【서울/세종 건강의학팀】 고혈압 진단을 받았다면 혈압약을 복용하는 것만큼이나 ‘생활 습관 및 식단 관리’가 중요합니다. 

 

전문의들은 혈압약을 복용하면서도 혈압이 제대로 조절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 환자가 무심코 반복하는 '잘못된 생활 습관'과 ‘고위험 식단’을 꼽습니다. 

 

특히, 단순히 짠 음식(나트륨)을 피하는 것을 넘어, 혈압 변동성을 키우는 수면 문제나 스트레스 관리 실패가 혈압 조절의 가장 큰 장애물로 작용합니다.

 

본 기사는 순환기내과 전문의들의 조언을 바탕으로, 고혈압 환자가 반드시 피해야 할 ‘독이 되는 생활 습관 및 식단 5가지’를 상세히 분석하여, 혈압 관리의 성공을 위한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합니다.

 

I. 생활 습관 금기 2가지: 혈압 변동성을 높이는 '침묵의 독소'

 

1. 수면 무호흡증 방치 및 불규칙한 수면 패턴

 

  1. 위험성:수면 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기도가 막혀 산소 포화도가 떨어지고, 이를 만회하기 위해 심장이 과도하게 작동하게 합니다. 이 과정에서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여 야간 고혈압과 혈압 변동성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 됩니다.
  2.  
  3. 대안:코골이가 심하거나 수면 중 숨 막힘 증상을 느낀다면 반드시 병원에서 수면 다원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4.  
  5. 잠자리에 드는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수면 전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하는 등 규칙적인 수면 위생을 확립해야 합니다.
  6.  

2. 과도한 스트레스 축적 및 분노 조절 실패

 

  1. 위험성:스트레스는 코르티솔(Cortisol)과 같은 스트레스 호르몬을 분비하게 합니다. 이 호르몬은 혈관을 수축시키고 심박수를 높여혈압을 급격히 상승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됩니다.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고혈압 약물의 효과를 떨어뜨립니다.
  2.  
  3. 대안:일과 중 5분씩 짧게 명상하거나, 좋아하는 음악을 듣는 등 자신만의 스트레스 해소법을 찾아야 합니다. 특히 분노나 짜증과 같은 급격한 감정 변화는 일시적이지만 치명적인 혈압 상승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감정을 통제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II. 식단 금기 3가지: 혈압약 효과를 무력화하는 '고위험 영양소'

 

3. 과도한 나트륨(소금) 섭취

 

  1. 위험성:나트륨은 우리 몸에서 수분을 끌어당기는 성질이 있습니다. 나트륨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혈액량이 늘어나 혈관을 압박하게 되고, 이는 직접적으로 혈압을 상승시킵니다.
  2.  
  3. 대안:세계보건기구(WHO) 권고인 하루 2,000mg(소금 5g)이하 섭취를 목표로 해야 합니다. 
  4.  
  5. 특히 국물 요리(찌개, 라면), 가공식품(햄, 소시지, 통조림), 그리고 외식 메뉴에 숨겨진 나트륨을 경계하고, 싱겁게 조리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6.  

4. 액상 과당 및 단순당이 첨가된 음료와 가공식품

 

  1. 위험성:단순당, 특히 액상 과당은 단순히 비만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체내에서 요산(Uric Acid)생성을 촉진합니다. 이 요산은 혈관 벽을 손상시키고 혈관 수축을 유도하여 혈압을 올리는 것으로 최근 연구에서 밝혀졌습니다.
  2.  
  3. 대안:탄산음료, 주스, 가당 커피, 에너지 드링크등 설탕이 들어간 음료는 무조건 피해야합니다. 빵, 케이크, 과자 등 단순당이 많이 포함된 가공식품의 섭취도 최소화해야 합니다.
  4.  

5. 과도한 음주 및 흡연

 

  1. 음주의 위험성:알코올은 단기적으로는 혈관을 이완시키는 것처럼 보이나, 장기적으로는 교감신경을 흥분시켜 혈압을 만성적으로 상승시킵니다. 또한, 알코올은 혈압약의 대사를 방해하여 약효를 떨어뜨립니다. 고혈압 환자는 하루 한 잔(맥주 350ml, 와인 150ml) 이하로 제한해야 합니다.
  2.  
  3. 흡연의 위험성:니코틴은 혈관을 즉시 수축시키고 동맥 경화를 촉진하여 혈압을 높일 뿐 아니라, 심뇌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을 폭발적으로 증가시킵니다. 고혈압 환자는 절대적으로 금연해야 합니다.
작성 2025.11.14 13:34 수정 2025.11.14 15:32

RSS피드 기사제공처 : 메디컬라이프 / 등록기자: 김지수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