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많은 강아지 보호자들이 사료 관리에 비교적 안심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오히려 겨울철 실내 난방이 자동급식기를 '세균 배양기'로 만들 수 있다고 강력히 경고한다.
그 이유는 바로 '난방'과 '결로' 현상 때문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겨울철 보일러나 온돌 난방은 바닥에 놓인 자동급식기 주변의 온도를 28~30도 이상까지 끌어올린다. 이 뜨거운 열기는 사료통 내부에 온도 차를 유발해 수분이 응결되는 '결로 현상'을 일으킨다.
문제는 이 습기가 겨울철 정체된 실내 공기와 만나 빠져나가지 못하고, 난방열로 인해 따뜻하게 데워진다는 점이다. 이는 곰팡이와 세균이 번식하기에 최적의 환경(고온·다습)을 제공하며, 단 며칠 만에도 사료가 부패할 수 있다.
사료가 변질되면 '마이코톡신(Mycotoxin)'이라는 치명적인 곰팡이 독소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독소는 강아지의 간과 신장을 손상시키고 면역력 저하, 알레르기,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된다.
겉보기엔 멀쩡해 보여도 냄새가 시큼해지거나 질감이 눅눅해졌다면 이미 산패가 진행된 신호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어린 강아지나 노령견은 미세한 오염에도 구토, 설사, 식욕 저하 등 심각한 증상을 보일 수 있다.
많은 보호자가 실리카겔(제습제)을 넣어두지만, 전문가들은 이것만으로는 역부족이라고 말한다. 제습제는 공기 중 수분만 흡수할 뿐, 난방열과 공기 접촉으로 인한 사료 자체의 산패를 막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강아지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계절에 관계없이 자동급식기 관리가 필수적이다. 사료는 3~5일분만 소량 보충하고, 주 1~2회 이상 급식기 전체를 세척한 뒤 '완전 건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자동급식기는 난방기나 보일러 열이 직접 닿는 바닥을 피해 서늘한 곳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에는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공기나 습기 유입을 최소화하는 밀폐형, 진공 보관 기능이 강화된 자동급식기 제품들도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 수의 전문가는 "편리함을 위해 사용하는 자동급식기가 겨울철 난방 환경에서는 오히려 강아지 건강을 해치는 주범이 될 수 있다"며 "사료가 공기에 닿지 않도록 밀폐하고 위생 관리에 신경 쓰는 것만이 최선의 예방책"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