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가 청년의 목소리를 정책에 담기 위한 공론의 장을 연다. 오는 11월 13일 열리는 ‘제2차 청년정책 기본계획(2026~2030)’ 공청회는 청년과 전문가, 시민이 함께 참여해 향후 5년간 인천 청년정책의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다.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11월 13일 오후 4시 시청 대회의실에서 ‘제2차 청년정책 기본계획(2026~2030)’ 수립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공청회는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인천 청년의 삶을 포괄하는 중장기 정책 청사진을 마련하기 위한 공식 논의의 첫걸음이다.
청년, 시민, 전문가, 관계기관 등 약 80여 명이 참석해 정책의 완성도와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이번 행사에서 인천연구원 최태림 박사가 토론의 좌장을 맡고, 문화예술 분야 민경선 연구위원과 청년정책 분야 김문길 연구위원이 자문위원으로 참여한다.
토론에는 중소기업 근무 청년, 문화예술인, 창업 프리랜서 등 다양한 청년 세대가 직접 참여해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전달하며, 참석자들은 청년 일자리, 주거 안정, 문화 지원, 사회 참여 확대 등 구체적인 개선 과제에 대한 제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최근 인천은 청년 인구 증가세가 뚜렷하다. 시 통계에 따르면 인천의 청년 인구는 82만 6천 명으로 전년 대비 증가했으며, 서울·경기를 제외하면 전국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인천시는 이 같은 흐름을 기반으로 청년이 머무르고 성장하는 도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종합적인 청년정책을 추진 중이다.
이번 공청회에서는 ‘청년이 공감하고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주제로, 제2차 기본계획의 비전과 핵심가치를 검증하는 한편, 시는 현장 질의응답뿐 아니라 온라인 의견수렴 시스템을 병행해, 참석자 전원이 실시간으로 의견을 공유할 수 있도록 운영할 계획이다.
황효진 글로벌도시정무부시장은 “이번 공청회는 청년이 직접 정책의 주체로 참여하는 과정”이라며 “청년들의 진솔한 제안을 정책에 적극 반영해, 지속 가능한 청년정책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인천시는 공청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종합 검토해 향후 기본계획의 수정 및 보완안을 확정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청년이 머무르고 성장하는 도시 인천의 2030 비전을 구체화한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