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건강 경고] 겨울 난방 속 ‘보이지 않는 위험’… 자동급식기, 사료 부패로 건강 위협


겨울철 실내 난방이 본격화되면서 반려동물의 자동급식기 관리 문제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겨울이라고 안심하기 쉽지만, 난방으로 인해 급식기 주변이 고온다습해지면

사료 부패와 곰팡이 오염이 오히려 여름보다 심각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겨울철 보일러나 온돌 난방은 바닥에 놓인 급식기 주변의 온도를 28~30도 이상까지 끌어올린다.

이때 사료통 내부에 결로(수분 응결)가 생기면, 단 며칠 만에도 곰팡이와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수의사들은 “겨울에는 실내 공기가 정체되어 습기가 쉽게 빠지지 않아 곰팡이 번식 위험이 높다”며

“여름 못지않게 겨울에도 급식기 관리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많은 보호자들이 제습제를 넣거나 사료통에 실리카겔을 두지만,

전문가들은 “제습제는 공기 중 수분만 흡수할 뿐, 사료 자체의 산패를 막지는 못한다”고 말한다.

또한 난방된 실내에서는 제습제의 효율이 떨어져 금세 포화 상태가 된다.

사료의 부패는 단순히 습기 문제를 넘어 공기 접촉, 온도, 위생 관리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따라서 사료가 외부 공기와 닿지 않도록 밀폐·차단하는 구조가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사료가 변질되면 ‘마이코톡신(Mycotoxin)’이라는 곰팡이 독소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독소는 반려동물의 간과 신장을 손상시키고, 면역력 저하나 알레르기,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다.

겉보기엔 멀쩡해 보여도 냄새나 질감이 약간 변한 사료라면 이미 산패가 진행된 경우가 많다.

특히 어린 고양이나 노령견은 면역력이 낮아 미세한 오염에도 구토나 설사, 식욕 저하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전문가들은 계절에 관계없이 한 번에 3~5일분만 급식기에 보충하고,

주 1~2회 이상 세척과 완전 건조를 해야 한다고 권한다.

남은 사료와 새 사료를 섞어 사용하지 말고,

직사광선이나 난방기, 보일러 주변은 피해야 한다.

사료 봉투는 밀봉 후 서늘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근에는 공기와 습기 유입을 최소화하는 구조나 진공 보관 기능이 강화된 급식기 제품들이 등장해

위생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보호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전문가들은 “자동급식기를 사용한다고 해서 사료 관리가 자동으로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며

“겨울철 난방 환경이 오히려 부패를 가속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고,

공기 차단과 위생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편리함을 위해 마련한 자동급식기가 소중한 반려동물의 건강을 해치지 않도록,

사료 보관 구조와 관리 습관을 함께 점검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책이다.


작성 2025.11.12 16:30 수정 2025.11.12 16:30

RSS피드 기사제공처 : 브랜드경제신문 / 등록기자: 노재민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