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일명 단통법)이 공식 폐지되면서 국내 휴대폰 시장이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규제 해제 직후부터 공시지원금과 실구매가가 빠른 속도로 변동하며, 아이폰·갤럭시를 중심으로 한 시세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업계는 “지원금 경쟁이 전면적으로 재개되며, 가격 변동 속도가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빨라졌다”고 분석했다.
휴대폰 시세 비교 플랫폼 ‘시세킹’이 발표한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단통법 폐지 이후 통신사 지원금 변동 폭이 기존 대비 크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출고가 중심 구조가 완전히 지원금 중심으로 이동하며, 실구매가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시세킹 관계자는 “아이폰은 특정 요금제에서 높은 지원금이 붙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으며, 갤럭시는 모델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지역 간 시세 격차가 오히려 더 벌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서울·경기·부산·대구 등 주요 성지 지역에서는 실구매가 차이가 30만~50만 원까지 벌어지는 사례도 확인됐다.
또한 단통법 폐지로 인해 유통점 및 온라인 판매처의 가격 자율성이 확대되며, 시세 변화가 하루 단위로 바뀌는 ‘실시간 시장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이에 대해 시세킹은 “지원금 변동이 빠르게 이뤄지는 만큼 소비자들은 최소 하루 1회 이상 시세표를 확인해야 손해를 방지할 수 있다”며 “이제는 ‘언제 사느냐’가 곧 ‘얼마나 절약하느냐’를 결정하는 시대가 됐다”고 조언했다.
업계는 이번 단통법 폐지를 기점으로 ‘자율 경쟁 중심의 휴대폰 시장’으로 전환되는 첫 단계로 보고 있으며, 향후 통신 3사 간 지원금 경쟁이 소비자 가격 인하로 이어질지 주목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