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공공배달앱 ‘배달특급’ 이 올해 10월 기준 약 850억 원의 거래액을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556억 원) 대비 53%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주식회사는 11일 발표를 통해 올해 10월까지 신규 회원 수가 약 20만 7,000명을 넘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24%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2020년 12월 첫 서비스를 시작한 배달특급은 누적 거래액 약 4,850억 원, 누적 회원 144만 명을 돌파하며 경기도의 대표 공공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다.
배달특급은 과도한 민간 배달앱 수수료 부담을 줄이고, 소상공인과 소비자의 상생을 실현하기 위해 탄생한 경기도형 공공배달앱이다. 현재 도내 31개 시군에서 운영 중이며, 지역화폐 연동 시스템을 통해 지역 상권의 매출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정부의 ‘공공배달앱 활성화 소비 쿠폰’ 과 경기도·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 공동 추진한 ‘2025년 상반기 경기 살리기 통 큰 세일’
에서 큰 성과를 거뒀다. 배달특급은 공공배달앱 3사(배달특급·땡겨요·먹깨비) 중 가장 먼저 쿠폰을 완판시키고, 30억 원의 거래액을 달성해
소상공인과 소비자 모두에게 실질적 혜택을 제공했다.
또한 배달특급은 단순한 배달 중개 기능을 넘어 플랫폼 기반의 확장 서비스를 선보이며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지난해부터 경기도 아동급식카드 결제 연동 서비스를 도입해 결식아동의 온라인 식사 주문을 지원하고, 다회용기 제공 서비스를 통해 친환경 정책에도 동참하고 있다.
올해 5월부터는 여성청소년 위생용품 온라인 판매 서비스를 개시해, 지역화폐로 지급되는 상품권을 배달특급 쇼핑몰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게 했다. 이 서비스는 5월부터 10월까지 약 35억 원의 거래액을 기록하며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아울러 온누리상품권 결제 기능을 도입해 소비자 편의성을 강화했으며, 개발사 페이코(PAYCO) 와의 정례 회의를 통해 지속적으로 사용자
의견을 반영하고 있다.
이재준 경기도주식회사 대표이사는 “배달특급은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며 골목상권과 지역경제의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다”며, “2026년에도 도민에게는 편리한 서비스로, 소상공인에게는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자리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