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역사상 가장 긴 연방정부 셧다운 사태가 글로벌 물류망을 마비시키며 전 세계 공급 체계에 충격을 주고 있다. 행정 기능이 멈추자 항공 운항은 지연되고 항만 통관 절차가 멈춰 수출입 물류가 발이 묶였다. 특히 부패성 화물의 피해가 심각하다.
이번 셧다운은 연방정부 예산안이 의회를 통과하지 못하면서 시작됐다. 세관, 교통안전청(TSA), 식품의약국(FDA) 등 주요 기관의 업무가 중단되자, 국제 항공편과 해상 물류 시스템이 동시에 타격을 입었다. 국경의 물리적 개방은 유지됐지만, 서류 승인과 검역, 안전 점검 등 행정 절차가 정지된 것이다.

항공사들은 인력 부족과 행정 지연으로 운항 스케줄을 대폭 축소했다. 주요 노선의 운임은 일주일 새 최대 60% 가까이 급등했다. 한 항공 물류업체 관계자는 “항공화물 예약이 사실상 불가능한 수준”이라며 “의약품과 생필품 수송이 지연돼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항만의 상황도 다르지 않다. 항만세관의 일부 부서가 폐쇄되면서 컨테이너 통관이 중단됐고, 냉장창고에는 신선식품 화물이 처리되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다. 캘리포니아, 뉴욕 등 주요 항만에서는 “부패 우려로 일부 수입업체가 물품을 폐기하는 상황”이라는 현지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
경제 전문가들은 이번 셧다운의 여파가 단기적 혼란에 그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무역분석가는 “공공 데이터와 물류 네트워크가 멈추면서 글로벌 공급망 복구에는 최소 몇 주 이상이 소요될 것”이라며 “특히 항공 의약품 운송망은 우선 복구 대상이지만 정상화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한편 미국 항공운송협회(A4A)는 셧다운이 해제되더라도 당분간 운항 안정화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TSA 인력 복귀와 시스템 점검, 항공 스케줄 재조정 등에 최소 2주 이상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이 행정 의존도가 높은 물류시스템의 리스크를 재점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 기능이 멈추면 곧 경제가 멈춘다”는 교훈이 다시금 확인된 셈이다.
이번 미국 셧다운은 단순한 행정 중단이 아니라 세계 경제 흐름을 흔드는 물류 대혼란으로 이어졌다. 각국은 공급망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위기 대응 시스템 강화와 비상 물류 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됐다.
행정 기능의 중단은 곧 시장의 마비로 이어진다. 이번 사태는 정부 운영의 연속성이 경제 생태계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여실히 보여줬다. 셧다운이 끝나더라도 물류 대란의 여진은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