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31일, APEC 경주 정상회의 현장에서 엔비디아(NVIDIA)와 한국 정부 및 주요 대기업들이 역사적인 협력에 서명했다. 젠슨 황 CEO가 직접 참석한 이번 협약에는 삼성전자, SK그룹, 현대자동차그룹, 네이버클라우드, LG그룹이 포함되었으며, AI 인프라 구축과 GPU 대규모 공급을 중심으로 한 ‘AI 팩토리’ 구축 계획이 핵심이다.
이번 협력의 핵심은 엔비디아의 차세대 ‘블랙웰(Blackwell)’ GPU 26만 장 이상을 한국에 공급하는 것이다. 단일 국가 기준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이며, 공급액은 10조~14조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한국은 이번 계약으로 AI 학습용 GPU 보유량이 기존 6만5천 개에서 30만 개 이상으로 급증해, 글로벌 AI 인프라 중심국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전 공정을 AI로 통합한 ‘반도체 AI 팩토리’를 구축한다. 회로 설계, 공정 제어, 품질 관리 등 전 단계에 AI를 투입해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며, 엔비디아의 cuLitho 및 Omniverse 플랫폼을 활용한 디지털 트윈 환경을 조성한다. 또한 HBM3E와 차세대 HBM4 메모리 공급 협력을 확대하고, AI-RAN(지능형 기지국) 기술 개발에도 참여한다.
SK그룹은 울산에 100MW급 AI 데이터센터를 세워 ‘제조 AI 클라우드’를 구축한다. SK텔레콤이 운영을 맡으며, SK하이닉스는 GPU 2,000장을 활용해 반도체 설계와 공정 최적화에 AI를 적용할 계획이다. 최태원 회장은 “제조업을 AI로 혁신하고, 중소기업과 공공이 함께 사용하는 개방형 AI 플랫폼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현대자동차그룹은 5만 장의 GPU를 투입해 ‘피지컬 AI’ 산업을 선도한다. 자율주행, 로보틱스, 스마트팩토리를 중심으로 블랙웰 GPU 기반 학습 및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구축하고, Jetson Thor 플랫폼을 활용한 로봇 제어 AI 연구를 추진한다. 정의선 회장은 “미래 모빌리티와 제조 혁신의 중심에 AI를 두겠다”고 말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6만 장의 GPU를 도입해 초거대 AI 모델 학습 인프라를 확충하고, 국내 스타트업과 공공기관을 지원하는 AI 클라우드 서비스를 확대한다. LG그룹은 로보틱스와 의료 AI 연구 협력을 강화하며, AI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CDU) 분야에서도 엔비디아 인증을 추진 중이다.
젠슨 황은 기자회견에서 “AI 팩토리는 단순한 데이터센터가 아니라 지능을 생산하는 공장”이라며, “한국은 반도체와 제조 강국으로서 피지컬 AI 시대의 핵심 거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협력은 단순한 기술 계약을 넘어, 반도체·제조·로보틱스·모빌리티 등 산업 전반에 걸친 ‘지능화 대전환’의 서막으로 평가된다. AI 팩토리, 디지털 트윈, 피지컬 AI 등 엔비디아가 제시한 핵심 개념들이 한국의 주요 산업 생태계에 실질적으로 적용되는 최초의 대규모 사례이기 때문이다.
한국은 이미 HBM4 메모리 기술 개발과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건설을 병행하고 있으며, 이번 엔비디아 협약으로 AI 반도체 생산과 응용 전반에서 세계 주도권을 확보할 발판을 마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