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드론이 무인 출동…안양시, 자율비행 드론시스템으로 하천안전 강화

드론이 찾아가 “대피하세요”음성 안내방송…현장 영상 관제

최대호 시장 “기후위기 시대 스마트 행정…신기술 적극 접목해 안전한 환경 조성”

안양시가 자율비행 드론시스템을 활용해 하천 보행자 대상 스마트 계도 방송 시스템을 더욱 효율적으로 운영한다고 21일 밝혔다.

 

시는 지난 8월 집중호우 시 드론 전문 인력이 현장에서 드론을 조종해 시민이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드론 계도 방송 시스템을 도입한 바 있다.

이후 시는 관련 부서 간 협업을 통해 전문 인력의 조종 없이도 무인으로 드론이 출동・운영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고도화했다.

 

시가 적용한 자율비행 드론시스템의 드론은 비행 중 장애물을 스스로 회피하고 인공지능(AI)을 통해 사람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정형 안내방송 스피커가 닿지 않는 구간에도 드론이 접근해 집중 안내방송을 송출할 수 있게 됐다.

 

 

 

 

 

스피커를 탑재한 드론은 “현재 호우주의보가 발효 중입니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하천변 산책로 침수 위험이 있으니, 이용을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등의 음성 안내방송을 할 수 있다.

또 현장 영상은 실시간으로 안양시 재난안전상황실과 드론 통합상황실로 전송돼 사각지대 없이 안전사고 예방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됐다.

 

시는 안양천과 학의천이 합류해 수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쌍개울 구간을 중심으로 운영을 시작하며, 향후 대상 구역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현재 시는 호우 특보 등으로 하천 범람이 예상될 경우 차단선을 설치해 하천 보행로 출입을 막고 있으나,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자율드론을 활용한 선제적 대응 체계를 마련했다.

 

 

 

 

시는 지난 9월 드론 사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드론 통합상황실을 개소하며 드론배송 등 신규 드론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대호 안양시장은 “자율비행 드론시스템을 활용한 하천 안전 관리는 기후위기 시대에 대응하는 시민 중심의 스마트 행정 사례”라며 “앞으로도 신기술을 행정에 적극 접목해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참고자료]

- 긴급 하천 안전관리를 위한 -

ADS(자율비행드론시스템) 운영 계획

 

▣ 개 요

 □ 사 업 명 : 하천 무인 드론시스템 운영

 □ 사업기간 : 26년 1월이후 정식 운영 (25년 11~12월 시범운영 및 테스트)

 □ 추진부서 : 정보통신과(드론), 안전정책과(총괄), 생태하천과(감시) 비예산

 □ 비행계획 : 쌍개울 기준 2km 이내 주간 비행 

 ※ 안양천(명학대교―쌍개울―양명고), 학의천(인덕원동―내비산교―쌍개울)

  실시간 상황 감시 : 사각지역 없는 전 구간 감시 및 상황판단 

  안내 방송(대피) 실시 : 사람 및 자전거 등 이동 시 대피 방송 실시

 □ 운영장비 : 사전 스케줄에 따른 자율 비행 및 실시간 화면 공유 가능

    드론 스테이션(DJI 매트리스 4D, 무인 자율비행시스템) 1대

 

 □ 기대효과

 ❍ 무인 드론 운영을 통해 재난재해시 신속한 대응 능력 향상

 ❍ 기구축한 드론 인프라(상황실, 관제시스템, 자율드론)를 활용한 드론 행정서비스 첫 사례 및 추후 다양한 시민 서비스 확장의 발판 마련

 사업개요

 □ 사 업 명 : 하천 재난재해 대비, 무인 드론시스템 운영

 □ 사업기간 : 2025년 시범 운영 후 상시

 □ 추진방식 : 정보통신과(드론), 안전정책과(총괄), 생태하천과(감시)

 □ 사 업 비 : 비예산(자체 운영)

 □ 추진절차

① 집중호우 시 
하천 이슈 발생

② 부서 간 협의

③ 하천 드론 
운영 범위 확정

하천 출입 차단 시에도 하천에 출입하는 시민

안전정책과(안전), 정보통신과(드론),
생태하천과(하천) 협의

쌍개울 기준 2km 이내 안양천, 학의천 대상

 

 

 

 

⑥ 실 운영

⑤ 시범 운영

④ 비행 계획 수립

집중호우, 하천 재해 시

실 운영

비행테스트,

합동 시범 운영 등

하천 내 장애물 등
파악 후 비행경로 수립

 □ 사업개념도

 

 

 사업내용

 □ 운영개요

     운영 시스템

 ‣ 드론 스테이션(DJI 매트리스 4D, 무인 자율비행시스템) 1대

  드론 관제시스템 웹(fh.dji.com) 1식 - DJI(드론 제작사) 

 ⦁사무실 컴퓨터에서 운영(관제, 조종 등) 가능(드론 통신 LTE 방식, 거리 제약 無)

 ⦁안전정책과․정보통신과․생태하천과 접속 가능(공간 제약 無 및 상황 공유 가능)

  비행계획  ※ 비행계획은 테스트 후 변동될 수 있음

 

 

     드론 운영 기준

  강수 기준

 ⦁관내 하천 중 가장 빈번히 문제가 발생하는 쌍개울(비산교)의 수위를 기준으로 함

 ※ 기상청 강수량은 관내 하천 범람의 정확한 기준이 되기 어려워, 상시 모니터링이 가능한 안전정책과 판단하에 운영 결정

   ⦁강수량 10mm 이하에서 운영(방수등급: 드론(IP55) / 스테이션(IP56))

    풍속 기준

 ⦁12m/s(제조사 내풍 속도) 이하의 바람에서 운영

  운영 시간

 ⦁일출~일몰 간 필요시 운영(야간 비행 불가)

 

     드론 방송 내용

   안양시에서 알려드립니다. 현재 집중호우로 하천 수위가 높아져 
    하천 출입이 금지되었습니다. 현재 계신 보행로에서 안전한 장소로 즉시 이동해주시기 바랍니      다.

작성 2025.10.21 13:31 수정 2025.10.21 13:31

RSS피드 기사제공처 : 환경감시일보 / 등록기자: 송영배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